지난해 난청으로 쓰인 진료비는 319억원으로 의원을 찾는 환자가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공단은 '전음성 및 감각신경성 난청(H90)'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7일 공개했다.
난청은 사람이 매일 드는 소리 전달 과정에 문제가 발생해서 나타나는 청력 감소다. 소리는 외이, 중이, 내이와 신경전달 경로로 전달된다.
전음성 및 감각신경성 난청(H90) 건강보험 진료현황
이에 따르면 난청 환자는 2008년 22만 2000명에서 2013년 28만 2000명으로 연평균 4.8%씩 증가했다.
총진료비는 2008년 230억원에서 지난해 319억원으로 늘었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6.7%였다.
2013년을 기준으로 난청 환자는 의원을 가장 많이 찾았고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 병원(7,381명)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병원을 찾는 환자는 2008년 3141명에서 2013년 7381명으로 연평균 증가율이 18.6%로 급증하고 있었다.
연령별로 보면 난청 환자 10명 중 4명꼴인 44.5%가 60대 이상이었고 50대 17.1%, 40대 11.5% 였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최현승 교수는 "노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노인의 난청 발생 증가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연령에 따른 청력 감소는 30대 정도에 시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일반적으로 65세 이상을 기준으로 양쪽 귀에서 대칭적인 형태의 청력 저하를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