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제약사들이 전문의약품 대상의 규제적 약가정책으로 인한 수익을 보전하려는 방법의 일환으로 일반의약품 생산 비중을 높여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표한 '2014 식품의약품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일반의약품의 생산액은 전년도 대비 증가한 반면 전문의약품의 생산액은 감소했다.
일반의약품 생산액의 경우 지난 2009년 2조5233억원에서 2010년 2조5309억으로 소폭 증가한 이후 2011년 2조4986억원, 2012년 2조2973억원으로 감소하는 추세였다.
그러나 지난해 일반의약품 생산액은 2조3678억원으로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반면 전문의약품 생산액은 지난 2010년 이후 지속적 감소곡선을 그리고 있다.
2009년 10조8401억원이었던 전문의약품 생산액은 2010년 11조7037억원으로 증가한 이후 2011년 11조6107억원, 2012년 11조4525억원으로 기록하다 지난해에는 10조8104억원으로 지난 2009년과 비슷한 수준에 머물렀다.
제약업계는 그 이유를 전문의약품 대상의 규제적 약가정책에서 찾았다.
국내 A제약사 관계자는 "전문의약품의 생산금액은 일반의약품에 비해 다섯배 정도 많지만 영업이익까지 비슷한 비율은 아니다"며 "전문의약품에 대한 정책적 규제가 많다보니 의약분업 이후 신경을 안 쓰던 일반의약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한국제약협회도 비슷한 생각이다.
제약협회 이재국 상무는 "국내 의약품 시장에서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의 전체적 비율만 따지면 83 대 17 정도로 전문의약품이 파이의 대부분 차지하고 있다"며 "그러나 정부가 건강보험 재정 절감적 명목으로 기등재목록정비을 통해 전문의약품만 골라내고 약가를 깎다보니 기업 입장에서 성장에 발목을 잡히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 상무는 "이런 이유로 기업들이 비록 일반의약품 시장의 파이는 작지만 수익보전 차원에서 경쟁적으로 일반의약품 활성화에 힘쏟는 경향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 상무에 따르면 전체 광고에서 차지하는 일반의약품 광고의 비율도 늘고 있다.
그는 "지난해 하반기와 올해 상반기의 광고주협회 자료를 보면 광고에 나타나는 제약업계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며 "전문의약품을 광고할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일반의약품 광고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전문의약품에서 떨어져 나가는 수익을 일반의약품으로 보완하려는 기업들의 전략적 판단의 결과"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