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7월부터 말기 암 환자의 호스피스 및 완화의료에 대한 건강보험 수가 적용 계획을 발표하자 병원계가 들썩이고 있다.
특히 기존 유휴병상을 운영해왔던 중소병원 입장에선 기존 병원을 유지하면서 병상을 채울 수 있다는 점에서 고민하고 있다.
또한 지방에선 혈액종양내과 교수들까지 말기 암환자를 치료하는 완화의료 병원의 성공 가능성을 타진하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는 복지부가 발표했듯이 말기 암 환자 완화의료를 건강보험 수가로 지원하게 될 경우 병원 경영적인 측면에서 블루오션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때 마침 정부의 심사 강화로 문을 닫는 요양병원이 늘고 있는 상황이라 폐업한 요양병원 건물에 완화의료 의료기관이 들어서는 사례도 상당수 나타날 전망이다.
실제로 지방의 모 대학병원 교수는 복지부가 제시한 호스피스 병원 운영에 관심을 보이며 구체적인 병원 개원 계획을 검토 중이다.
그는 "말기암환자는 대학병원에서 장기입원할 수 없고, 요양병원에 있기에는 항암치료 등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하다"면서 "이를 위한 별도의 의료기관을 운영, 이에 대해 건보에서 지원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모 중소병원장은 "안 그래도 정부의 호스피스 의료기관 지원 계획을 유심히 지켜보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아직은 회의적인 시각이 지배적이다.
앞서 요양병원이 건강보험 지원 이후 우후죽순 늘어나기 시작해 정부 규제로 줄줄이 삭감, 폐업에 이르는 현상을 지켜봤을 때 호스피스 의료기관도 유사한 양상을 보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 복지부가 지원하는 만큼 시설 및 의료인력 기준을 까다롭게 제시할 가능성이 높은데 과연 이를 맞출 수 있을 것인가 의구심을 제기하는 시선도 많다.
한 중소병원장은 "대출을 받아서 병원을 마련한다고 해도 인건비, 시설 투자비를 감당하는 게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정부가 제시한 수가안을 보면 항암치료 및 검사에 대해 가산점을 두고 있는데 중소병원급 의료기관에서 항암치료에 필요한 인력 및 시설을 갖추기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에 대해 중소병원협회 한 관계자는 "정부의 수가안 이외에 시설 및 인력기준 등 구체적인 기준이 제시돼야 알겠지만 섣불리 나서기엔 리스크가 있다"면서 주의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