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파업이 15일째를 맞이하면서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지난 2013년 파업의 경우 13일 만에 합의점을 찾았지만 올해는 2주가 지난 현재까지도 여전히 실무교섭 단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6일 공공운수노조 서울대병원분회 측은 "병원 측이 제대로 된 협상안을 내놓고 있지 않고 있어 합의가 쉽지 않다"며 "최근 개정안 취업규칙안을 무효화하고 전 직원 성과급제 또한 취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병원 측 또한 "파업을 마무리 하려고 노력 중이지만 노조 측 요구안을 수용할 수 없어 협상이 쉽지 않다"며 "취업규칙 개정은 정부가 추진 중인 공공기관 방만경영합리화 일환으로 취소하거나 양보할 수 없는 사안"이라고 받아쳤다.
이처럼 양측의 입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어 이번 주내로 파업을 종료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무엇보다 쟁점으로 부각된 취업규칙 개정안과 그 일환으로 제시된 전 직원 성과급제를 둘러싼 노사간 갈등은 쉽게 합의점을 찾을 수 없는 부분이라 파업이 길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병원 측이 추진 중인 취업규칙 개정안에는 노조 단체협약 해지를 포함했다. 단체협약은 노조 활동의 핵심이라고 할 만큼 의미가 있는 부분으로 노조 입장에선 수용할 수 없는 카드를 제시한 셈이다.
단체협약이 해지되면 노조 활동이 위축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노조 측에선 사활을 걸고 이를 막아야 하는 것이다.
반면 병원 측은 기획재정부가 추진 중인 공공기관 방만경영 정상화 운영지침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인건비 등 정부지원을 받을 수 없게 된다.
서울대병원은 병원 경영에 상당 부분을 정부 지원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 이를 무시할 수 없는 상황.
병원 관계자는 "단순히 임금인상안의 경우 양측이 협상할 수 있는 여지가 있었지만 이번 쟁점은 양보할 수 없는 사안이다보니 협상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한편, 서울대병원 의료진 등 일각에선 검사 및 외래진료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등 환자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가운데 노사 양측이 언제쯤 어떤 합의점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