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회의 수익 사업 시행. 여기까지라면 별반 흥미를 끌만한 소재는 아니다. 하지만 수익 사업의 대상이 약사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7일 충남의사회가 약사들을 대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새로운 모델을 구상 중이어서 관심을 끌고 있다.
관계자에 따르면 의사회의 구상은 지금껏 처방전에 무료로 기재하던 '바코드'를 유료로 전환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처방전 바코드란 의사가 발급한 처방전에 조제약품 품목명, 개수 등의 정보를 담고 있는 바코드를 기입하는 것을 뜻한다.
처방전에 바코드가 없을 경우 약국에서는 처방전에 나온 조제약품과 개수 등을 일일이 직접 타이핑을 해 입력해야 한다.
약사가 처방전을 직접 타이핑하는 과정에서 기재 오류 등 조제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있었던 것이 사실. 약사로서는 처방전의 직접 기입보다는 스캐너로 바코드를 읽는 것이 일손도 덜고 조제 오류도 방지하는 일석이조의 역할을 해왔다.
문제는 처방전 바코드가 업체별로 상이해 약국은 종류별 바코드 스캐너를 구비하고 스캔 건당 수수료도 지불하는 부담이 있었다는 점이다.
박상문 충남의사회 회장은 "지금까지 무료로 기재하던 처방 정보 바코드를 유료로 전환코자 한다"며 "의사들에게만 이득이 되는 게 아니라 약사들에게도 혜택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수익 모델로서의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처방전에 기재된 바코드는 업체별로 형태가 달라 약국에서도 대략 2~3개의 바코드 스캐너를 구비해 놓는다"며 "스캐너 이용에 따라 업체에 지불하는 건당 수수료나 월 서비스 이용로도 한달 평균 20만원에서 3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안다"고 지적했다.
의사회가 일정 서비스 이용료를 전제로 처방전 바코드를 규격화하면, 약사들 역시 이중, 삼중의 스캐너 구입·운용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게 그의 구상.
박상문 회장은 "처방전 바코드를 규격화하고 통일화하면 여러 스캐너를 구비해야 하는 약사들의 부담이 완화될 수 있다"며 "이와 맞물려 의사들도 바코드 기재로 수익을 얻기 때문에 서로 윈윈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일단 충남의사회의 수익 모델 사업을 시작으로 성공 가능성을 타진해 보겠다"며 "만일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다면 추후 전국 의사회로 확대, 시행할 계획이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