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 비급여 개선 정책에 따라 오는 하반기부터 상급병실 비율이 개선되지만 일선 대학병원들은 현실적인 어려움을 호소하며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모습이다.
이미 90%가 넘는 병실이 사용중인데다 수개월간 진료와 수술이 밀려있다는 점에서 병실 조정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것이 이들 병원들의 공통된 주장.
A대학병원 관계자는 28일 "복지부의 정책에 맞추려면 현재로서는 상급병실 일부를 일반 병실로 개조하는 수 밖에 없다"며 "추가적인 병상 확충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그러나 수개월내에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운 얘기"라며 "손실액이 문제가 아니라 물리적인 어려움이 있다"고 덧붙였다.
복지부는 하반기 상급종합병원 일반병상 70% 확대 방안을 시행한다는 방침이나, 서울대병원 등 8개 대형병원이 기준 미충족인 상태이다.
실제로 상당수 병원들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미 병상가동률이 100%에 육박하는 상황에서 공사를 위해 환자들을 강제 퇴원시킬 수는 없는 노릇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렇다고 향후 입원환자들을 제한하기에는 이미 올 연말을 넘어 내년까지 진료와 수술 예약이 잡혀 있다는 점에서 어려움이 많다.
B대학병원 관계자는 "지금도 수술 예약이 수개월씩 밀려 있는데 병실 공사를 위해 이를 취소할 수도 없는 것 아니냐"며 "빅4병원 모두가 마찬가지 상황인데 그렇다면 환자들이 어디서 수술을 받고 입원해야 하는가"고 반문했다.
이로 인해 이들 병원들은 회의만 거듭할 뿐 사실상 손을 놓고 정부의 대책 마련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다.
강제로 환자를 퇴원시킬 수도, 입원을 제한할 수도 없는 만큼 정부의 후속 조치가 있을때까지는 예정된 진료와 수술을 진행할 수 밖에 없다는 하소연이다.
이에 따라 과연 보건복지부가 오는 6월로 예정된 개정안을 통해 어떠한 후속 조치를 내놓는지에 병원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대학병원들이 손을 놓고 있는 배경에는 사실상 이 개정안을 보고 움직이겠다는 의도도 깔려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A대학병원 관계자는 "우선 복지부도 이같은 상황을 알고 있고 대책을 내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안다"며 "이를 보고 움직여야 하지 않겠느냐"고 귀띔했다.
아울러 그는 "강제 조치가 나온다면 이를 환자에게 알리고 강제 퇴원을 시키던, 입원 제한을 하던 해야하지 않겠냐"며 "지금 섣불리 움직였다가는 비난과 민원을 감당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