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메르스)이 아닌 중증 호흡기질환, 폐렴의심 환자를 진료하기 위해 지정된 '국민안심병원'.
정부는 메르스에 대한 공포감 불식을 위해 '안심'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일선 개원가는 '안심'이라는 단어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을 호소하고 있다. 용어를 바꿔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왔다.
메르스 관련해 거점병원, 전담병원, 집중치료센터를 비롯해 메르스병원 등 의료기관에 대한 각종 용어들이 혼재하면서 의사들도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는 모양새다.
보건복지부는 11일부터 메르스 청정지역인 '안심병원' 운영에 돌입했다. 안심병원은 중증 호흡기질환자의 병원 방문부터 입원까지 진료 전 과정에서 다른 환자로부터 격리해 진료하는 병원을 지칭하는 것이다.
15일 현재 총 161곳이 안심병원으로 지정받았다. 상급종합병원 32곳, 종합병원 109곳, 병원 20곳이 참여하고 있다.
경기도 A 병원 원장은 "메르스 확진 환자가 발생하지도, 경유하지도 않은 의원은 안심할 수 있는 의료기관이다. 안심이라는 단어 때문에 호흡기 환자가 아닌 환자들도 안심병원만 찾아가는 상황"이라며 "용어를 선정할 때 신중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증 호흡기질환자 등이 주요 대상이라고 한다지만 안심병원이라고 하면 누가 알겠나.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기도 B 의원 원장도 "대한병원협회는 아예 회원 병원에게 안심병원 지정 신청을 하라고 독려하고 있다"며 "안심병원이 갖춰야 하는 요건을 의원급에서 맞춰 신청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의원은 불안심의원이라는 말인가"라고 반문했다.
용어를 바꿔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정부의 정책 방향에 대한 제안도 제기했다.
이 원장은 "메르스 때문에 작년 이맘때보다 환자가 20~30%나 줄었다. 안심병원이 불난 집에 부채질하는 꼴이다. 혼란을 줄 수 있는 용어를 대체할 단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방 C 병원 원장도 "국민들이 의료기관 찾기 자체를 꺼리고 있으니 정부가 고육지책으로 내놓은 방안이라는 데에는 공감한다"면서도 "안심병원 지정 및 명단 공개보다는 안심 의료기관이라는 표현을 쓰고 이를 찾는 요령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 홍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