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진료와 상급병실에 대한 2차 개선안이 시행된 첫날 대다수 대학병원들이 별다른 잡음없이 진료를 마친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제도 시행에 따른 혼란이 클 것이라는 우려와 차이가 있는 모습이다.
다만, 제도 시행 이후 병원 및 의료진들의 수익 변화에도 별 문제 없이 연착륙할 수 있을지 더 지켜봐야 한다는 게 병원계의 시선이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1일부터 선택진료 의사와 상급병실 축소를 골자로 하는 3대 비급여 2차 개선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했다.
대학병원들은 현재 80%에 달하는 선택진료의사를 67%로 축소했으며 일반 병상 또한 현행 50%에서 70%로 상향 조정했다.
메디칼타임즈가 제도 시행 첫날인 지난 1일, 일부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확인한 결과, 평소와 큰 차이는 없었다.
실제로 A대학병원 설명간호사는 "선택진료의사 여부에 대한 문의는 없었다"면서 "생각보다 조용히 지나갔다"고 귀띔했다.
B대학병원 진료지원부장은 "선택진료 의사에서 제외된 의료진이 침체된 것 이외에는 환자들은 큰 변화를 체감하지 못한 채 지나간 것 같다"면서 "병원 내부적으로 직원교육도 시키고 준비를 했는데 큰 문제는 없었다"고 말했다.
환자 혼란을 우려해 포스터와 리플릿 등을 게시하고 환자 민원에 대비해 직원 교육을 실시하는 등 준비를 한 것에 비해 조용히 지나갔다는 게 전반적인 분위기다.
A대학병원 내과 교수는 "환자들은 과거와 마찬가지로 의료진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큰 변화 없이 진료비가 낮아졌다고 생각하는 정도일 것"이라며 "실제로 이에 대해 물어보는 환자는 없었다"고 했다.
하지만 문제가 전혀 없는 건 아니다.
당장은 정부가 대형 대학병원 등 상급병실 기준을 맞출 수 없는 의료기관에 대해 한시적으로 수가 가산을 적용해주는 등 임시방편책을 제시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기 때문이다.
C병원 관계자는 "환자가 입원해 있는 병상을 갑자기 격리병상으로 만들 수는 없지 않느냐"며 "입원 환자가 계속해서 밀리는데 병실을 비울 수도 없고 난감한 노릇"이라고 털어놨다.
제도 시행 이후에 대한 우려도 높다.
A대학병원 한 보직자는 "당장은 제도 연착륙을 위해 수가 보전책을 제시해 각 병원들이 생각보다 잠잠하지만 향후 2~3년이 지나면서 병원 경영에 어떤 파장을 미칠 지는 지켜봐야할 일"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의료진도 당장은 조용하지만 막상 월급봉투가 달라졌을 때에도 조용할 지는 의문"이라며 "제도 연착륙 여부는 향후 더 지켜봐야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