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주도 시범사업을 전제로한 수가모형이 논의 중인 가운데 호스피탈리스트 인건비 등 재정적 지원 등 구체적인 정책 제안을 담은 보고서가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한국병원경영연구원 김요은 수석연구원은 최근 '호스피탈리스트제도 도입에 대한 선결 정책과제' 주제로 발간된 보고서를 통해 호스피탈리스트 관련 보완해야할 방안을 제시했다.
김요은 수석연구원은 정부 주도의 본격적인 시범사업을 제안하며 제도 정착을 위해 대국민 홍보를 제안했다.
그는 "정부가 시범사업에 나선다면 초기부터 호스피탈리스트의 진료에 의한 주치의 교체 등 국민의 공감대 형성을 위한 홍보가 필요하다"고 했다.
호스피탈리스트는 제도만의 문제가 아닌 만큼 국민들의 지지 또한 필요하다는 얘기다.
또한 그는 미국과 한국은 의료제도 및 환경이 다른 만큼 호스피탈리스트 제도를 시행함에 았어서도 방법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한국은 전공의 급여 및 수련을 담당하는 전문의 급여 등 수련에 관한 모든 비용을 병원이 부담하고 있는 만큼 호스피탈리스트를 채용할 경우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김 수석연구원은 "실제로 호스피탈리스트의 수입 구조는 기존의 내과 전문의와 차이가 있고 한국의 입원환자 원가보전율을 75%수준에 그치고 있다"면서 "병원계 경영상 어려움이 가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제도를 도입, 의료의 질 향상과 환자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면 응급의료의 경우처럼 별도의 수가를 책정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밖에도 호스피탈리스트에 대한 적정 기준을 마련하고 미래 비전을 제시할 것을 제안했다.
입원환자 진료를 전담하는 역할부터 시작해 제도가 정착되면 전공의 교육 및 연구까지 역할을 부여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라고 봤다.
미국의 경우 대학병원이 종합병원보다 급여는 낮지만 진료 이외 교육 및 연구도 할 수 있고 미래도 보장되기 때문에 지원자가 많은 실정.
그는 "지원자들에게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감소해줄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면서 "이와 더불어 호스피탈리스트에 적합한 인력 양성을 위해 전공의 수련체계 변화도 검토해야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