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진하는 응급의료 관련 시범사업은 상당한 예산을 투자하지만 의료현장에서는 불필요한 경우가 많다.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까."
정부 시범사업에 답답함을 느꼈던 응급의학과 교수들이 최근 응급의료 IT연구회를 창립했다.
응급의료 최일선의 응급의학과 의사들이 원격협진 장비를 제작하는 IT전문가를 직접 만나 아이디어를 제안, 업무하자는 게 연구회를 만든 이유다.
연구회가 최우선 과제로 잡고있는 것은 응급의료 취약지 원격협진 시범사업과 스마트 의료지도 시스템 시범사업.
먼저 취약지 원격협진 시범사업의 경우, 격오지에 근무 중인 공중보건의사가 대형병원 의료진에게 의학적 자문을 구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로 정부 예산을 쏟아부었지만 막상 효율성이 떨어졌다.
실제로 공중보건의사가 거점병원 의료진에게 환자의 정보를 전달하는 데 1시간이 소요되고, 해당 의료진이 소견서를 서면으로 전달하는데 수시간 길면 수일이 걸렸다.
또한 응급환자 이송 중 응급처치를 통해 환자 생존율을 높이자는 취지에서 시행한 스마트 의료지도 시스템 시범사업 또한 효과가 입증됐지만 일부에 국한돼 있어 늘 아쉬웠다.
그렇다보니 응급환자에게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응급의료 IT연구회는 이처럼 응급의료 현장에서 느꼈던 답답함을 능동적으로 해소할 계획이다.
연구회 조직은 시범사업에 참여 중인 병원의 응급의학과 의료진과 관련 업체 관계자, 정부 담당자 등으로 구성할 예정으로 현재 회원 모집 중이다.
의료진은 현장에서 생각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업체는 이를 기반으로 필요한 장비를 제작하고 정부는 이를 정책에 반영하는 식이다.
연구회 초대 회장을 맡은 제주한라병원 김원 교수는 "지금까지 의료진은 정책을 도입하면 뒤에서 불만을 토로하기 바빴다. 하지만 앞으로는 우리가 먼저 정부 혹은 업체에 제안하고 주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우선 과제인 취약지 원격협진 시범사업도 지금처럼 고가의 불필요한 장비보다는 스마트 폰을 활용한 아이디어 혹은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환자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스마트 의료지도 시스템 시범사업 즉 구급차 내 응급처치 또한 교육 대상을 구급대원을 대상으로 확대, 추진하는 등 보다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김 교수는 "환자를 살려야할 시간에 장비 조작을 하는데 시간만 낭비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면서 "정부와 업체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낭비할 정부 예산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응급의학과 의료진이 적극 개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앞으로 연구회를 통해 정기적인 모임을 갖고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면서 "조만간 임상 현장의 아이디어가 장비 및 정책으로 구현하는 날이 올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