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분만 취약지를 없애겠다며 예산을 투자하고 있지만 현실은 고위험 산모들이 병원을 전전하다 사망에 이르고 있다는 게 산부인과 의사들의 생각이다.
대한산부인과의사회는 통계청의 영아 사망, 모성사망 출생후기 사망 통계 자료로 2012~2014년 모성사망률을 분석했다.
그 결과를 보면 3년 동안 아이를 낳다가 사망한 여성은 48~50명이었다. 최신 수치인 2014년 결과만 놓고 봤을 때 모성 사망자 수는 48명. 이 중 아이가 살아있는 경우는 31명이었다.
2014년 모성사망비는 출생아 10만명당 11명으로 2012년 9.9명보다 증가했다. 이는 2011년 17.2명보다는 줄어든 수치이지만 OECD 평균 7명보다는 여전히 높은 수치다.
연령별 모성사망비(출생아 10만명당)를 보면 고령산모의 위험성이 월등하게 높았다. 25세 미만이 3.9명으로 가장 낮고 40세 이상이면 32명으로 8배 높았다. 25~34세는 25세 이하보다 모성사망비가 2배 더 높았다.
모성사망 원인을 보면 81%가 산과적 색전증, 분만 후 출혈 등 직접 산과적 사망이었다. 감염증은 더 이상 사망 원인이 아니었다.
산부인과의사회 고창원 대외협력이사는 "국가 전체의 안전한 출산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산모 사망의 원인 분석이 필요하다"며 "취약지에 병원이 부족한지, 환자 후송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지, 산모 안전망은 있는지 종합적인 평가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산부인과의사회는 정부가 분만 취약지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분만 안전망 구축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고 이사는 "산모가 전원을 다니다가 사망하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분만 취약지를 지원하는 것과 동시에 권역별 분만 안전망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예를 들어 분만 취약지에 있는 산모가 119로 전화하면 최고 난이도의 고위험 산모 여부를 판단해 신생아 치료시설이나 권역 집중 치료센터로 바로 갈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라며 "문제가 없고 가까운 곳에서 분만하고 싶으면 주변의 분만 산부인과를 안내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또 "고위험 임산부 진료에는 시스템과 함께 경험있는 의사도 중요하다"며 "응급하면 즉시 처치하고 후송이 필요하면 적합한 곳으로 보낼 수 있는 의사가 배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