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바꿀 큰 줄기로 ICT기술이 부각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의료 분야에 대한 적용이 미비한 만큼 이에 대한 정책 지원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높다.
세계적인 IT강국임에도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와 의료를 잇는 임상연구 등이 부족하다는 지적.
4일 광화문 교보빌딩에서 개최된 제3차 미래보건의료포럼에서 전문가들은 한 목소리로 이같은 의견을 내놓고 정책적인 지원을 촉구했다.
이날 포럼에서 백남종 미래보건의료포럼 추진위원회 임상연구 분과위원장(서울의대)은 "급격한 고령화로 만성질환이 늘고 있는 가운데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해결책은 ICT를 활용한 의료기술"이라며 "ICT의료기술은 조기 진단은 물론, 치료와 사후 관리에 이미 유용성이 증명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하지만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IT강국임에도 ICT의료기술이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4.4년의 기술 격차를 보이고 있다"며 "관련 분야에 대한 연구 개발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ICT기반 미래 보건의료기술에 대한 특허 데이터만 봐도 이러한 경향이 눈에 띄게 나타났다.
5개국에 대한 특허 데이터를 조사한 결과 미국은 3만 7987건에 달했지만 우리나라는 1만 777건에 불과했던 것.
백 위원장은 "지난 2010년부터 특허가 급격하게 늘고 있다는 점에서 ICT의료기술이 성장 단계에 이른 것으로 본다"며 "미국의 기술 발전이 전체 ICT 기술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백 위원장은 하루 빨리 우리나라도 ICT의료기술 발전을 위한 기반을 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범정부부처를 아우르는 R&D정책을 수립하고 연구중심병원 중심의 ICT임상 연구를 수행하는 동시에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 프리존도 설정해야 한다는 제언.
백 위원장은 이미 구축된 R&D인프라의 관리를 가오하하는 동시에 연구, 개발에 우선적으로 필요한 만성질환 등에 대한 시범사업을 서둘러야 한다"며 "또한 ICT기반 의료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 등에 허가 절차를 간소화하는 제도적 장치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물론, 의료단체들과 의학단체들도 이러한 필요성에 공감하며 적극적인 동참과 지원 의지를 보였다.
대한의사협회 추무진 회장은 "우리나라 의료기술은 이미 세계적 수준의 반열에 올랐지만 이를 해외에 수출할 수 있는 정책적, 제도적 지원은 미흡하다"며 "미국 등이 왓슨 등을 통해 빠른 속도를 내고 있는 만큼 우리도 이를 활용한 방안들을 깊이 있게 고민해야 한다"고 전했다.
대한의학회 이윤성 회장(서울의대)도 "저출산, 고령화 현상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만성 질환이 늘고 있는 상황에 ICT는 의료의 형평성과 접근성에 큰 장점이 있다"며 "비용대비 효율성과 안정성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수반된다면 보건의료 문제의 해결책으로 충분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건복지부도 의료계에서 충분히 효과와 안정성을 입증해 준다면 정책적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가야할 길인 만큼 충분히 뒤에서 밀어주겠다는 것.
보건복지부 권덕철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의료와 IT의 융합은 만성질환 관리에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라며 "하지만 의료서비스와 의료기기, IT시스템이 결합되는 만큼 정책적으로도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의료계를 중심으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하며 임상과 기술가이드라인을 만들어 가야 할 것"이라며 "전문가들이 의료와 IT를 융합하는 방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연구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