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가 추진 의사를 밝힌 특정지역을 대상으로 한 시범사업에 대해선 실효성에 의문을 제시했다.
간학회 변관수 이사장(고대 구로병원)은 메디칼타임즈와 만나 C형간염의 국가검진 필요성과 도입과 둘러싼 현재 상황을 설명했다.
그동안 간학회를 필두로 관련 학계에서는 C형간염 바이러스(HCV) 항체검사를 활용한 조기검진과 함께 40세와 66세 생애전환기 검진 시에 C형간염 항체검사를 도입하는 방안을 주장해왔다.
여기에 간학회는 질병관리본부가 발주한 '국내 간염관리 개선방안' 주제의 연구과제를 수행하면서 C형간염 국가검진 도입 필요성을 질병관리본부에 거듭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에 질병관리본부는 0.6%에 불과한 C형간염 낮은 유병률을 근거로 일단 특정지역을 지정한 시범사업을 도입한 후 향후 국가검진 도입 여부를 판단하자는 입장이다.
하지만 간학회는 질병관리본부의 시범사업 도입 주장에 큰 실효성이 없다고 지적했다.
간학회 변관수 이사장은 "정부는 C형간염 고위험군을 가지고 선별검사를 통해 확인하자고 하는데, 이미 외국에서 선별검사를 통해 진행하는 방법은 실효성이 없다고 입증된 사례가 많다"며 "미국의 경우도 고위험군 대상 선별검사가 실효성이 없자 베이비부머 세대 전부를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변 이사장은 "일본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C형간염 검진을 도입하고 있다"며 "질병관리본부가 관련된 주장에 긍정적인 입장을 표시하며 시범사업을 도입하자고 하는데 우리는 전체적으로 국가검진에 포함시켰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변 이사장은 이러한 질병관리본부의 소극적인 입장에 대해 '예산' 문제가 발목을 잡고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변 이사장은 "개인적으로 느끼는 것일 수 있지만, 정부가 예산이 많이 드는 것에 대한 부담을 느끼는 것 같다"며 "국가검진을 도입한다면 C형간염 환자가 많이 확인될 것이고, 이에 따른 치료비, 즉 약값 등을 계산했을 때 소요되는 재정까지 국가검진 도입에 따른 예산으로 보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C형간염의 경우 시쳇말로 현금으로 집 사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하는데, 그만큼 초기 치료에 대한 약값이 많이 든다는 것"이라며 "하지만 WHO가 C형간염을 2030년에 퇴치하겠다고 밝힌 바 있는데, 우리나라도 이 같은 기조에 맞추려면 초기비용은 들더라도 감수해야 한다. 이른바 가성비를 고려했을 때 이 방법이 올바른데 정부가 망설이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변 이사장은 질병관리본부가 지적한 낮은 유병률 문제에 대한 해법으로 개원가의 적극적인 C형간염 검사 참여를 주장했다.
변 이사장은 "개원가에서도 C형간염에 대해 중요성을 생각해서 검진을 활발히 했으면 한다"며 "솔직히 개원가에서는 C형간염 치료를 많이 하지 않는다. 예전 C형간염 치료에 인터페론을 쓸때는 부작용이 우려된 데다 현재는 약값이 너무 고가이다 보니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개원가에서도 간 기능 이상이 있는 환자에 C형간염 검사를 많이 하면 환자들이 더 많이 확인될 수 있을 것"이라며 "국가검진이 되기 전까지 개원가가 검사를 활발히 한다면 C형간염 진단율이 올라갈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