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단어를 사용한 협회만 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바이오의약품협회, 바이오협회까지 3곳이 생긴 상황.
케미컬 중심의 제약이 바이오로 재편되거나 바이오의 비중이 커지며 누구나 바이오 활성화의 적임자임을 자처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역할 중첩을 헤쳐 나갈 수 있을까.
바이오의약품협회 주광수 대표를 만나 해법을 들었다.
"협회도 리뉴얼 시대…정체되면 죽는다"
주광수 대표는 "이미 무한경쟁 시대에 접어들었고 무한경쟁을 펼치고 있다"며 "바이오 명칭 사용이 확대되는 건 이제 어쩔 수 없는 흐름이다"고 밝혔다.
그는 "이미 바이오라는 명칭은 한 기업, 한 분야에 국한된 고유명사가 아니라 대명사가 됐다"며 "따라서 한 기업이 하나만 사업하는것이 아닌 것이 트렌드인 것처럼 이제 각 협회도 자신의 색깔을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바이오협회가 제약협회의 바이오 명칭 사용이 회원사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업무 중첩과 그간 바이오협회의 수요, 시장 창출 노력에 무임승차한다는 이유 등으로 반대 입장을 밝혀왔지만 명칭마저도 시장경쟁의 원리에 맡겨야 한다는 게 주 대표의 판단.
주광수 대표는 "다만 이런 경쟁이나 명칭을 둘러싼 해법 도출 자체가 갈등으로 비춰져선 안된다"며 "이런 갈등을 지켜보는 독자는 흥미를 느끼겠지만 산업은 피해를 본다"고 우려했다.
이어 "단체가 경쟁을 하고 어떤 서비스를 하냐에 따라 회원사가 협회를 선택하는 무한 서비스 시대를 열어야 한다"며 "기득권에 안주해 리뉴얼을 등한시하면 협회도 죽는다"고 역설했다.
각 협회간 역할 중첩이 회원사의 혼란을 부추기진 않을까.
주광수 대표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을 보면 제약협회가 총괄을 하지만 그 밑에 특화된 단체가 있다"며 "전체 노조가 있고 산별 노조가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향후에는 각 협회간 중점 파트가 세분화될 것이다"고 전망했다.
그는 "바이오의약품협회는 질병 예방, 진단, 치료와 관련된 신약 개발, 진단시약, 줄기세포 등 레드 바이오에 특화된 단체"라며 "바이오라는 분야에서도 특화 분야를 전문으로 하는 만큼 회원사들의 선택에 맡기자"고 자신감을 피력했다.
실제로 복지부 바이오의약품 약가제도 개선 협의체 활동을 비롯 신의료기술평가제도 개선, 글로벌 바이오 콘퍼런스 개최, 바이오의약품 규제산업정보 DB구축까지, 관계부처와 국회까지 산업과 관련해 회원사를 대변해 왔다는 게 그의 판단.
주 대표는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 세액 공제 확대 요청하고, 허가심사, 약가제도 개선요청과 유전자치료제 품목허가시 신약 지정 등을 요청했고 개선 성과도 얻었다"며 "지난해 첨단바이오의약품법 제정에 관한 조사연구를 비롯 12개 용역사업을 수행해 전문성을 인정받았다"고 덧붙였다.
그는 "분야별로 정책 경쟁을 펼치겠지만 큰 틀의 단일한 목소리는 필요하다"며 "타협과 상생의 시각으로 목소리를 맞춰 정부와 국회에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을 제안하자"고 손을 내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