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간 전라도 지역 지역거점병원으로 톡톡히 제역할을 해왔던 A병원이 동업 관계를 유지해왔던 병원장간 갈등으로 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다.
A병원은 80년도 중반 개원한 이후 권역응급의료센터에 이어 권역외상센터로 지정, 응급의료 헬기 운영 의료기관으로 선정되는 등 탄탄대로를 걸어왔다.
특히 세월호 당시 권역외상센터 역할을 하는 등 지역 내에서도 일반 병원을 넘어 공공의료 역할을 하는 거점병원으로 성장했다.
승승장구하는 이 병원의 성장세에 브레이크는 없어보였다.
하지만 병원이 성장을 이어갈수록 공동 개원 멤버였던 원장 4명간에는 불협화음이 생겼고 비영리법인 전환 논의를 두고 갈등이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자세한 내막은 이렇다. A병원은 권역응급의료센터, 권역외상센터 등 굵직한 정부 지원 사업에 참여하면서 계속해서 정부로부터 법인화 요구를 받아왔다.
이에 공동 개원한 4명의 원장 중 대관업무를 주로 맡았던 ㄱ원장은 법인화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껴 이를 제안했지만 나머지 3명의 원장의 동의를 이끌어 내지 못했다.
의료법인 등 법인화할 경우 병원에 대한 개인 지분을 포기해야 하는 만큼 선뜻 이를 수락할 수 없었던 것이다.
이처럼 공동개원한 병원장간 첨예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급기야 병원장간 주먹다짐을 하기에 이르렀다.
ㄱ병원장은 "현재 정부 예산을 지원받아 응급의료 헬기 등 공공의료적 성격의 사업을 하다보니 개인병원으로는 한계가 있어 법인화를 해야하는데 그렇지 못해 안타깝다"고 말했다.
병원계도 승승장구 하던 병원의 씁쓸한 현실에 안타깝게 지켜보고 있다.
30년간 유지해온 병원마저도 공동개원을 유지하기 어려운 현실과 법인화를 둘러싼 현실적 한계에 대해 공감하기 때문이다.
모 중소병원장은 "공동개원을 하는 원장이라면 누구나 어려움을 겪는 부분"이라면서 "30여년간 운영한 병원마저도 결국 병원장간 불협화음이 생기는 것을 보면서 공동개원의 어려움을 절감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병원계 한 인사는 "A병원의 사례는 사실 병원계 고질적인 문제점이기도 하다"면서 "동업의 어려움도 있지만 탈출구가 없는 개인병원의 한계도 담고 있다"고 지적했다.
과거와 달리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공동으로 병원을 운영하는 사례가 늘어났고 병원 규모도 커졌지만 법인화까지는 기준이 까다롭기 때문에 탈출구가 없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그나마 A병원은 규모가 크고 보유 자산이 있어 법인화 승인이 가능하겠지만 수도권에 상당수 병원들은 법인화하고 싶어도 자격을 갖추지 못해 시도조차 못하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어떤 병원은 A병원처럼 자격 기준을 갖추고도 병원장간 의견 대립으로 법인으로 못가고, 한편에선 높은 장벽을 넘지 못해 법인화로 못가는 형편"이라면서 "현재로서는 가능성이 없지만 영리법인도 고민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