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형 당뇨병 치료를 위한 신의료기술이 쏟아지고 있지만 환자들은 재정부담과 허가제한으로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있다. 정부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대한당뇨병학회와 대한소아내분비학회, 대한당뇨연합은 지난 22일 오후 당뇨병환자 치료지원과 보장성 확대를 위한 제10차 국회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1형 당뇨병, 그중에서도 소아환자에 대한 정부의 보장성 강화 필요성에 초점을 맞췄다.
특히 소아 당뇨환자의 경우 학교 화장실에서 인슐린 주사와 혈당기로 자가검진을 하는 과정의 어려움을 해소해줘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지난 2010년 1형 당뇨병환자에 대한 요양비를 지원하기 시작한 데 이어 9차례의 토론회를 거치면서 2012년 90% 까지 보장비율을 확대한 상황.
하지만 여전히 1형 당뇨병 환자에 대한 정부의 재정 지원은 제한적이라는 게 관련 단체 및 학회의 공통된 입장이다.
한국소아당뇨인협회 김광훈 회장 발표에 따르면 CGM(연속혈당측정기)의 경우 혈당 조절에 효과가 높고 편의성 또한 우수하지만 회당 환자본인부담액만 30만원에 달한다.
인슐린 펌프도 치료재료만 180만원에 달하는 고가의 장비로 100% 환자가 본인부담하고 있으며 실시간 연속혈당측정기와 인슐린 펌프를 접목한 SAP(glucose sensor-augment insulin pump)장비는 약 600만원선이다.
당뇨병 환자들은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이고 장기적으로 치료를 받아야한다는 점에서 금전적인 부담이 상당하다는 게 김 회장의 설명.
그는 "치료수단은 있지만 비용적 장벽으로 접근성이 매우 낮다"면서 "1형 당뇨병환자가 체감할 수 있는 수준의 보장성 강화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1형 당뇨병은 예방수단조차 없다는 점에서 정부차원의 지원이 요구된다"면서 "치료법의 임상적 근거 및 적정급여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학회차원의 지속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토론에 나선 광명성애병원 박석오 과장(내분비내과)또한 인슐린 펌프 및 연속혈당측정기에 대한 급여화 방안을 모색할 것을 촉구했다.
현재 소아당뇨환자의 경우 학교 내 화장실에서 인슐린 주사와 혈당기로 자가검진을 실시한다.
인슐린 펌프와 연속혈당측정기(CGM)등 첨단 장비를 이용하면 위와 같은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지만 재정적 부담으로 여전히 과거의 치료방식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대한당뇨병학회 이문규 이사장은 "최근 당뇨병 치료에서 인슐린 펌프치료나 연속혈당측정법 등 효과적인 치료법과 장비가 개발되고 있지만 한국은 급여 인정은 물론 허가 자체가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일부 환자만이 직접 구매해서 사용하는 수준으로 개선책이 시급하다"면서 거듭 보장성 강화 필요성을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