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의료체계가 적나라하게 드러난 후 전원률은 줄어들고 있지만 문제점은 여전하다."
지난해 9월 발생한 중증외상 소아환자 사망사건 이 후 권역외상센터를 운영 중인 병원들의 전원률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중앙의료원 박종민 외상체계관리팀장은 지난 3일 한국보건행정학회에 참석해 권역외상센터를 운영 중인 주요 대형병원 환자 전원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우선 박종민 외상체계관리팀장은 지난해 9월 전북대병원과 전남대병원, 을지대병원 등에서 발생한 중증외상 소아환자 사망사건 이 후 권역외상센터의 중증외상 환자 전원률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2015년 평균 중중외상환자의 전원률은 2.89%였지만 지난해에는 0.71%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중증외상환자의 전원 사유를 살펴보면 2015년 환자 또는 보호자의 요청의 의한 전원이 36건이었지만, 2016년에는 6건으로 크게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중환자실이 부족해 전원된 경우도 2015년에는 18건이나 됐지만, 2016년에는 1건에 불과했다.
하지만 당장 응급수술 또는 시술이 불가해 전원된 사례는 2015년 13건에서 2016년 14건으로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더불어 권역외상센터의 재전원률은 2015년 3.05%였지만, 2016년에는 0.82%로 전원률과 마찬가지로 중증외상 소아환자 사망사건 이후 감소세가 확연했다.
박종민 외상체계관리팀장은 "권역외상센터 개소기관이 늘어나면서 중증외상환자 수는 늘어나고 있다"며 "지난해 중증외상 소아환자 사망사건으로 우리나라의 외상의료체계가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이 후 중증외상 환자의 전원률은 줄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여전히 병원 전단계서부터 병원 단계까지의 외상의료체계의 문제점은 여전하다고 평가했다.
박 팀장은 "적절한 외상환자의 분류가 미흡하고, 이송 중 활력 징후 유지를 위한 능력이 부족하다. 병원 내에서도 전담인력이 부족하다. 병원 내 협업도 제대로 아직 이뤄지고 있지 않다"고 진단했다.
이어 "개선점으로는 평가체계를 개선하고 외상등록체계 신뢰도를 향상, 확대 및 병원 전 기록과의 연계가 필요하다"며 "권역외상센터 등 기관에서는 전담인력의 확보 노력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처우가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