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막바지에 들어선 지난 11월,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에서 북한 병사가 총상을 입고 귀순한 사실이 알려지며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여기에 수술을 아주대병원 이국종 교수가 집도하면서 열악한 중증외상체계도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
특히 이국종 교수가 직접 나서 국내의 열악한 중증외상체계를 지적하자 이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는 국민들의 청와대 민원으로 이어졌다.
이를 바탕으로 복지부 내년 예산에 중증외상 의료진 처우개선 등 중증외상전문진료체계 구축에 601억원이 편성됐다.
당초 예산안보다 201억원이나 증액된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도 "사람의 생명을 구하는 골든타임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중증외상센터가 일차적 외상치료에서만 그치지 않고, 트라우마까지 치료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문제까지 돼 있는지 살펴보라"고 직접 지시하기도 했다.
더불어 이국종 교수가 지난 9월 아주대 교수회 소식지 '탁류청론' 기고문을 통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심사기준의 불합리한 점을 제기하자 즉각적으로 심사기준 개선 작업에 돌입한 상황이다.
심평원은 이국종 교수의 발언의 여파로 논란이 커지자 증외상시스템개선지원팀을 전격적으로 구성, 그간의 문제점을 집중 점검하고 개선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국종 교수의 작심 발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는 사안들도 존재한다.
중증외상체계 개선을 위한 예산이 증액 편성됐다고 끝이 아니기 때문이다. 예산 배정에 있어 실질적인 중증외상체계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디테일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국종 교수도 연 150억원을 들여 운행하는 닥터헬기가 정작 무전 장비를 갖추지 못해 지상에서 대기하는 의료진과 카카오톡으로 연락을 주고받아야 한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이국종 교수는 "(기존 닥터헬기에) 무전기 달라고 그런 지가 7년이 됐다. 수 백번을 얘기했지만 무전기를 달지 않고 있다"며 "예산을 늘린다고 능사가 아니다. 어떻게 쓸지가 중요하다"고 꼬집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