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은 5조8232억원으로 2016년 5조6025억원 대비 3.9% 증가했으며 최근 5년간 해마다 평균 8.4%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식약처에 따르면, 2017년 의료기기 수출은 31.6억달러(3조5782억원)로 2016년 29.2억달러(3조3883억원) 대비 8.2% 늘어났다.
수입은 35억달러(3조9529억원)로 전년 31.5억달러(3조6572억원) 대비 11.1% 증가해 무역적자는 3.3억달러(3747억원)로 2016년(2.3억달러·2689억원)에 비해 43.5% 늘어났다.
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 특징은 급속한 고령화로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높아지면서 치과용 임플란트·성형용 필러 등 관련 제품 생산·수출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은 전년 5조6025억원 대비 3.9% 늘어난 5조8232억원으로 나타났으며 지난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8.4%로 집계됐다.
또 의료기기시장 규모는 6조1978억원으로 2016년 5조8713억원에 비해 5.5% 증가했으며 매년 평균 성장률도 7.6%로 성장세를 유지했다.
품목별로는 치과용 임플란트(8889억원) 생산이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4951억원), 성형용 필러(조직수복용생체재료·2066억원) 순이었다.
제조업체로는 ▲오스템임플란트(6890억원) ▲삼성메디슨(2808억원) ▲한국지이초음파(1524억원) 순이었으며 상위 10개사가 전체 생산의 29.9%(1조7393억원)를 차지했다.
이밖에 의료기기업체 종사자는 2016년 7만7885명 대비 13.3% 증가한 8만8245명(제조업체 5만7595명·수입업체 3만650명)으로 조사됐다.
한편 지난해 의료기기 수출이 가장 많았던 품목은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5.51억달러· 6226억원) ▲치과용 임플란트(2.03억달러·2296억원) ▲성형용 필러(1.88억달러·2124억원) ▲매일착용소프트콘택트렌즈(1.53억달러·1728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압박용 밴드’와 같은 1등급 의료기기 수출은 2016년 2.8억달러(3249억원)에서 2017년 2.3억달러(2601억원)로 감소했다.
반면 ‘인공엉덩이관절’ 등 기술력이 요구되는 고부가가치인 4등급 제품은 2016년 2.3억달러(2669억원)에서 2017년 2.8억달러(3166억원)로 수출이 증가하는 추세다.
국가별로는 ▲미국(5.12억달러·5조7856억원) ▲중국(5.09억달러·5조7517억원) ▲독일(2.38억달러·2조6894억원) 순이었다.
또 수출 상위 15개 국가 중 2016년 대비 수출 증가율이 큰 국가는 ▲인도네시아(41.8%) ▲러시아(30.2%) ▲인도(28.4%)로 조사됐다.
업체별로는 ▲한국지이초음파(2.7억달러·3053억원) ▲삼성메디슨(2.2억달러·2488억원) ▲에스디(1.3억달러·1470억원) 순으로 수출이 많았으며 상위 10개사가 전체 수출의 35.4%(11.2억달러·1조2665억원)를 차지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 자료를 통해 의료기기 안전관리 및 산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며”며 “앞으로도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등 첨단기술이 접목된 의료기기 등 우수한 의료기기가 생산·수출될 수 있도록 기술적·제도적 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