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은 겨우내 움츠린 기지개를 켜고 본격적으로 활동이 많아지는 시기다. 발목염좌는 활동이 늘며 함께 증가하는 매우 흔한 질환으로, 대부분 잘 회복되기 때문에 치료에 소홀한 질환 중 하나다.
하지만, 완전히 회복되지 않으면 인대가 느슨해지면서 뼈 사이 관절도 불안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발목염좌가 재발하기도 쉬워지고, 장기적으로는 발목 관절염이 발생할 가능성도 커진다.
그러므로 통증이 사라졌다고 방치하지 말고 병원을 찾아 정확한 상태를 확인하고 치료를 받아야 발목을 건강하게 보존할 수 있다.
20~30대, 운동 등 활동량 많고 굽 높은 신발 신기 시작하며 많이 발생
발목염좌는 가장 흔한 스포츠 손상 중 하나다. 운동할 때, 울퉁불퉁한 바닥을 걸을 때 헛디뎌 발을 접질리면서 발목의 정상적인 운동 범위를 벗어나면 발목관절을 잡아주는 인대들이 손상되면서 발생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2019년 발목염좌긴장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10대가 380,468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뒤를 이어 20대, 30대 순으로 나타났다.
발을 헛디뎌 발생하는 것이 주원인인 만큼, 활동량이 많은 젊은 세대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 여성은 하이힐 등 굽이 높은 신발을 신으면 발목의 해부학적 구조상 더 접질리기 쉬워진다. 4월부터는 봄이 되며 활동량이 많아지며 발목염좌 환자도 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다친 직후에는 인대 다친 정도 확인 어려워, 검사 통해 확인 필요
발목을 삐끗하면 급성기에는 통증, 압통, 부종, 부기 등이 발생하며, 걷기가 힘들고 발을 짚고 서는 것도 힘들다. 주변의 미세 골절이나 힘줄의 손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인대 파열의 정도는 다친 직후에는 주변 근육의 경직으로 확인이 어려울 수도 있다.
우선, 발목인대의 압통과 통증 부위의 부기 확인, 환자 문진을 통해 손상 부위를 어느 정도 예측하고, 단순방사선 검사로 손상 인대를 확인할 수 있다.
인대가 다친 정도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하는데, 1단계(가벼운 염좌)는 기능적 상실이 거의 없는 인대 내부파열, 2단계(중등도 염좌)는 중등도의 불안정성과 함께 움직임 제한을 동반한 인대의 부분파열, 3단계(심한 염좌)는 인대의 완전 파열로 걷기 힘들며 목발 등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로 나뉜다.
발목염좌 발생 시 첫 단계 P.R.I.C.E 기억해야
발목염좌는 대부분 보존적 치료가 주된 방법이며 불안정성이 동반되는 경우에도 보존적 치료가 우선된다.
보존적 치료의 첫 번째 단계는 △압박 붕대로 발목을 감고, △얼음찜질과, △석고 부목 고정을 시행하고, △다리를 올려 부기를 가라앉히는 P.R.I.C.E(Protection, Rest, Ice, Compression, Elevation)이다.
이후 병원에서 진료 후 깁스 고정을 하고 체중 부하를 피하며 부종이나 통증 정도에 따라 관절운동이나 체중 부하를 조절하게 된다. 수술적 치료는 드문 편이며, 보존적 치료에도 증상이 지속하거나 만성적 불안정성이 동반될 경우에 한정적으로 시행된다. 오히려 조기에 수술 치료를 하면 발목 건강을 해칠 수도 있어 반드시 수술을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 발전 가능, 진료받고 상태 확인해야
발목염좌는 시간이 지나면 통증이 가라앉기 때문에 치료하지 않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급성 염좌의 약 20% 정도에서 만성 염좌 및 발목관절 불안정성이 발생할 수 있고, 불안정성이 지속할 경우 장기적으로는 발목관절염으로 진행할 수 있다.
초기에 보존적 치료를 시행할 경우 수술 없이 치료되는 경우가 많아 어떤 부분을 다쳤는지 정확히 진단하고 적절한 보존적 치료를 해야 습관적인 발목염좌 혹은 관절염으로 발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발목염좌 예방하려면 유연성, 발목 근육 강화가 최선
발에 가해지는 부담은 몸무게에 비례한다. 한 걸음마다 체중의 1.5배, 뛸 때는 4배, 점프할 때는 5배가량의 하중을 견뎌야 한다. 이를 환산해보면, 1㎞를 걸을 때 발이 받는 총 하중은 약 15t가량 되기 때문에 발목염좌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유연성과 발목 근육을 강화해야 한다.
신발은 발목이 잘 꺾일 수 있는 높은 신발보다는 상황에 맞추어 신는 것이 좋다. 운동 전에는 반드시 준비 운동을 통해 충분히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고 유연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