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명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신경정신과 간판을 걸고 있는 회원들은 이를 당분간 유지해 줬으면 한다."
정신과개원협의회 이성주 회장은 7일 메디칼타임즈와의 인터뷰를 통해 최근 학회는 복지부와 진료과목에 대한 의견을 조율하고 있다며 최후 결론이 도출될 때까지 현 진료과목 표기를 유지해야 최소 비용 등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최근 수련병원들의 신경정신과 진료과목 간판을 정신과로 고친 것에 대해 강한 불만을 토로하며 최근 학회에서도 이에 대한 의견을 복지부에 전달했다고 전했다.
이 회장은 이어 정신과를 진료과목으로 표기했을 때 정신질환자 조기 치료 저해 등의 문제점을 설명했다.
"현실적으로 '정신과'는 정신병자, 즉 미친 사람이 가는 곳이라는 사회적 오해와 편견이 만연해, 정신질환(특히 우울증)의 급격한 증가와 자살률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정신과병의원에의 접근성 및 조기 치료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 회장은 "'정신과'와는 반대로 '신경과'는 신경성질환(신경증, 노이로제)을 치료하는 곳으로 오해해 정신과를 가야할 정신질환자들이 신경과를 찾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이런 오해로 인해 정신질환자들이 신경과에서 비효율적 치료를 받게 되는 것을 방지하려면 신경과와 정신과의 학문영역 차별성을 알려야 한다는 게 이 회장의 주장.
이와 함께 "진료과목 명칭의 혼란으로 인해 정신질환자가 신경과에 많이 가고 있다"며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 각과의 다빈도 진료상병명 통계를 확인하자"고 이 회장은 제안했다.
이 회장은 "신경과에서 진정으로 신경질환만을 주도적, 효율적으로 진료하고 싶다면 타과의 명칭을 문제 삼을 것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진료과목에 맞게 환자를 의뢰하지도 않을 뿐더러 이에 대한 대국민 교육 및 홍보도 하지 않은 채 과명을 문제로 삼는 것에 대한 진의가 의심스럽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학회에서도 이같은 문제점들을 염두해 두고 정신과 개명을 위한 작업에 들어갔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신경정신의학회에서는 최근 과명칭변경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이에 관해 공청회도 실시한 바 있다. 또한 복지부에 관련 법률안을 개정해달라며 진료과목에 대한 의견을 제출했다.#b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