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의 발표 연기로 제약업계가 숨고르기에 들어간 가운데 일부 언론의 때리기식 보도로 의료계까지 불똥이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25일 제약사의 불공정거래행위를 보도한 일간지와 방송사 상당수가 공정거래위원회 발표에 근거한 현실적 보도를 보였으나 KBS와 연합뉴스 등 일부 언론은 제약사와 의사의 유착관계에 초점을 맞춘 집중보도 형태를 취했다.
이날 공정위 소식을 빠르게 전달한 연합뉴스는 공정위가 배포한 보도참고자료를 중심으로 개별취재로 확보한 한 제약사의 최근 4년간 위법행위인 상품권과 현금 및 PMS(시판후조사) 등에 소요된 수 백 억 원대의 액수를 보도했다.
연합뉴스는 이어 “이들 업체가 R&D를 통한 경쟁력 제고는 등한시한 채 로비에 의존해 높은 약값을 통해 결국 소비자에게 로비비용을 전가한 것이 아니냐는 비난이 고조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공정위는 제약사 조사 후 리베이트를 수수한 대형 병원들에 대한 조사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라며 공정위 화살이 제약사에 이어 의료계로 향할 수 있음을 예고했다.
이같은 연합뉴스의 보도는 일간지 홈페이지와 방송을 통해 그대로 전파되는 양상을 보였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등은 해당 신문사의 홈페이지에 연합뉴스 기사만 게재했을 뿐 독자적인 내용은 다루지 않았다.
가장 눈길을 끈 매체는 KBS로 ‘9시 뉴스’의 톱기사로 ‘10개 제약사, 리베이트 수천억’ 제목의 보도를 통해 제약계와 의료계를 향한 맹공을 퍼부었다.
지난달 H사 영업사원 인터뷰를 근거로 ‘PMS=리베이트’ 식으로 보도한 KBS는 이날 방송에서도 제약사의 전·현직 영업사원과 시민단체, 공정위 관계자의 잇따른 인터뷰를 보도에 삽입하여 제약사의 리베이트는 고질적인 병폐라는 점을 부각시켰다.
KBS는 또한 병원장 가족의 해외여행부터 원장 사모님 시장대행 등 리베이트 제공수법에 이어 의사에 대한 리베이트 전달방식과 액수, 기대효과 등이 적힌 한 제약사의 영업사원 교육지침서에 근거한 내용을 연이어 보도했다.
이와 관련 제약사 한 관계자는 “공정위 발표가 연기됐으나 언론에서 들끊고 있어 파장이 오히려 커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하고 “좀 더 반응을 지켜봐야 할 것 같다. 앞으로 어떤식으로 전개될지 모르겠다”며 향후 언론의 보도방향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한편,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10개사 중 주요 상장업체인 동아제약(-400원)과 중외제약(-1800원) 등이 25일 마감된 주식시장에서 약간의 내림새를 보였을 뿐 한미약품(+1000원), 유한양행(+1500원), 녹십자(+2400원) 등은 상승세를 지속해 공정위 여파가 아직까지 증시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