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환자 치료와 공공의료기관으로의 역할을 하고 있는 산재의료원 산하 병원들이 산업재해 환자들과 지역주민 모두에게서 점차 외면받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산업진흥원은 최근 펴낸 '산재의료관리원 소속 병원에 대한 경영진단'을 통해 산재병원들이 총체적 위기에 봉착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일한 산재전문병원임에도 환자들은 산재의료관리원 산하 병원을 먼저 방문하지 않았다.
환자들은 평균 1.37회(태백)째에서 4.34회째(경기요양병원)에 최초로 산재의료원을 방문했는데, 민간병원이 많은 지역일수록 최초 방문률이 떨어졌다.
산재의료관리원만은 이용한 순수 산재환자 역시 창원(44%), 순천(42%), 정선(40%) 등은 높은 수준이었으나 인천(13.2%), 경기(2.3%) 등은 낮았다.
지역주민들의 산재병원 이용률을 측정한 친화도 역시 계속 낮아지고 있었다.
안산의 경우 90년대까지만 해도 안산중앙병원의 친화도가 고대안산병원 다음인 10% 수준이었으나 2004년에는 2.9%까지 줄었다. 대전 역시 1996년 6.7%에서 계속 감소해 3% 수준까지 낮아졌다.
다만 지역내 병원이 없는 태백이나 정선권의 경우 지역친화도가 감소하기는 하나 40%대로 높았다.
특히 인천, 안산, 대전병원을 제외한 태백, 창원, 순천, 동해, 정선 등의 병원은 지역내 인구가 연평균 최소 0.4%(순천)~최대 4.1%(정선) 감소하고 있는 것도 산재병원의 어려움이다.
하지만 단순질병 중심의 진료가 많으며, 평균 재원일수가 긴 반면 평균 진료비가 낮는 등 수익성에는 한계가 분명했다. 병상당 의료수익의 경우 안산, 창원, 순천을 제외하고는 지방의료원의 40~60% 수준에 불과했다.
또한 의사 인력이 일반 병원 평균의 12.5%~61.5%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따라서 산재병원들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산재병원 본연의 기능을 강화하면서 최소한의 재정자립을 유지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산재환자 서비스를 현재의 장기요양 및 기능회복서비스에서 급성기후기 진료서비스 등을 제공해 산재환자 전문치료 및 재활병원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