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부터 외과와 흉부외과 수가가 30%, 100% 각각 가산됨에 따라 대학병원들이 이들 진료과 지원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그러나 진료과간 형평성 문제가 걸려 있어 신중에 신중을 기하는 분위기도 역력하다.
서울대병원는 외과와 흉부외과를 살기기 위한 핵심 과제로 일자리 창출을 설정하고, 단기적으로는 전공의 수련환경을 개선한다는 두가지 방향을 설정했다.
서울대병원 이정렬 교육연구부장은 11일 “현 시점에서 외과, 흉부외과 수가를 인상한 취지를 살리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두가지 방향에서 구체적인 이행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아직 구체적인 안이 나온 것은 아니지만 전공의들의 임금을 상향조정한다고 해서 지원율이 높아지진 않기 때문에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후 전공을 살릴 수 있도록 일자리를 많이 만드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현재 두 과는 전공의 지원이 저조한데다 우수 자원이 부족해 향후 국민들이 질 높은 치료를 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면서 “이런 점에서 인센티브가 불가피하고, 다른 진료과에서도 이를 이해해야 한다”고 못 박았다.
다른 대학병원들도 서울대병원과 마찬가지로 외과와 흉부외과를 지원하기로 하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A대학병원의 경우 이들 과 전공의들에게 국립대병원처럼 수련보조수당을 지급하고, 당직비 현실화, 수술보조인력 증원 등을 시행할 예정이다.
하지만 일부 병원들은 두 과만 지원하다 다른 과와의 형평성 문제가 불거지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B대학병원 관계자는 “현재 외과, 흉부외과 지원책을 마련중인 것은 사실이지만 내용을 공개하기엔 이르다”고 말했다.
그는 “공공병원에 근무하는 기피과 전공의들은 월 50만원의 수련보조수당을 지원받지만 민간병원은 이런 혜택이 없다”면서 “그러다보니 외과와 흉부외과 전공의만 수당을 지급하면 산부인과 등에서 불만이 나올 수 있어 조심스럽다”고 덧붙였다.
C대학병원 흉부외과 교수는 “수가를 인상한 것은 임상과의 어려운 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수입 증가분을 임상교수 인센티브, 전공의 복지에 투입해야 한다”고 못 박았다.
그러면서 그는 “문제는 왜 흉부외과, 외과에만 더 주느냐는 획일적인 인식”이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