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시와 농어촌 및 지방도시간 의료서비스 격차가 심각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원희목 의원은 복지부 국감자료 등을 바탕으로 인구대비 병상수 및 전문의 수를 기준으로 해 16개 시도별 의료서비스 순위를 분석한 결과 광주광역시가 1위, 충남이 꼴찌로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광주는 인구대비 병상수와 전문의 숫자 각각에서 3위에 랭크되어 이 둘을 합산 분석한 점수에서 1위를 기록했으며 충남은 병상수에서 11위, 전문의 수에서 16위로 나타나 최하위를 기록했다.
또 광주에 이어서는 대전과 부산이 상위 2, 3위에 랭크돼 1,2,3위 모두 대도시가 차지했고, 최하위 순위에서는 울산(15위), 경기·충북(공동 13위)이 뒤를 이었다.
인구대비 병상수, 수도권이 하위권 속해
각각의 세부내용을 살펴보면 인구 대비 병상 수에 있어서는 전남이 인구 1만 명 당 119.2개의 병상을 보유하고 있어 인구 대비 가장 많은 병상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뒤를 전남에 이어서는 경남이 2위(113.6개)로 농어촌 및 중소도시지역에서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 반면 서울(15위)·경기(14위) 등 수도권 지역이 하위권에 랭크됐다.
원희목 의원측은 "농어촌 및 중소도시지역의 경우 인구는 감소 또는 정체 상태에 있는데 반해 병상 수는 증가하면서 나타난 것이고, 수도권은 절대 병상수에서는 많지만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이어서 인구 대비 병상 수는 낮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의 수 상위권 모두 대도시…최하위권은 모두 농촌
인구 대비 전문의 숫자에 있어서는 서울이 인구 1만 명 당 전문의가 15.8명 있어 압도적인 1위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대전(14.3명), 광주(14.1명)가 뒤를 이었다.
인구 대비 전문의 수가 가장 적은 시도는 충남(16위 9.4명), 경북(15위 9.5명), 충북(14위 9.7명) 순으로 나타났다.
최상위권은 서울 대전 광주로 모두 대도시가 차지했고, 최하위권 하위는 충남 경북 충북으로 모두 농촌 지역으로 나타난 것.
원 의원은 "전문적 치료에서 농촌이 대도시에 비해 상대적 차별을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의료자원 대도시 쏠림, 국민의료비 상승을 초래"
이번 통계와 관련 원희목 의원은 "의료자원의 대도시 쏠림은 환자의 동반 쏠림을 초래한다"면서 "이런 현상은 농촌 지역의 의료서비스 불평등 이외에도 전체적인 국민의료비의 상승을 불러온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복지부가 4년마다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따라 병상의 수급을 조절하고 있고 교과부와 공동으로 의료인력의 수급을 조정하고 있으나 의료서비스 지역간 불균형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라면서 "보다 면밀하고 체계적인 수급 조절 계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