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의료는 너무 급성기 치료 위주에 집중돼 있습니다. 이제는 의사들도 치료 후 환자들을 어떻게 사회에 돌려보내는가에 집중해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대한재활의학회 강윤규 이사장(고려의대)은 30일 하얏트호텔에서 개최된 추계학술장에서 만난 기자에게 의료계가 나아갈 방향을 이같이 제시했다.
치료의 범위를 계속해서 넓혀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고민속에서 그가 주목한 것은 ICF. 한국형 ICF를 개발해 '장애'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것이 그의 이상이 됐다.
ICF(International Classific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 2001년 개정, 발표한 일종의 장애등급 기준.
과거 장애등급이 얼마나 신체에 손상을 입었느냐에 집중했다면 ICF는 그러한 장애 환자를 어떻게하면 사회로 돌려보낼 수 있을까에 초점을 맞춘 국제기준이다.
2000여개의 코드로 구성된 ICF는 사실상 의료와 복지의 총체적인 조합이다. 가령 하지절단 환자가 생겼다면 그에게 향후 어떠한 문제가 생길 것인지를 예측하고 그가 사회속에서 불편함을 느끼지 않기 위해서는 어떠한 의학적, 사회적 조치가 필요한지를 준비해 제공하는 개념이다.
강 이사장은 "사실 재활병원을 비롯, 대다수 대학병원들에 찾아오는 환자들은 산재, 교통사고 환자들"이라며 "하지만 건보환자냐, 산재환자냐, 교통환자냐에 따라 등급이 달라지며 그에 따른 수가도 천차만별"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제는 이러한 기준을 표준화시키고 단순히 치료가 아닌 재활문화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해야 할 시점이 왔다고 생각한다"며 "급성기치료 위주의 건보정책으로는 사회안전망으로서의 의료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재활병원 인증제를 도입한 것도 사실상 같은 맥락이다. 재활병원의 질관리가 없이는 표준화된 치료가 불가능하다는 것이 그의 지론.
이러한 노력이 지속되자 최근에는 근로복지공단에서 재활병원 인증제를 통해 산재병원을 평가하겠다는 의사를 비추고 있다.
강윤규 이사장은 "11월 중순 근로복지공단과 MOU를 맺고 산재병원 인증평가를 추진할 계획"이라며 "협의와 보완작업을 거쳐 학회 인증병원을 공단인증병원으로 인정하는 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