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DUR(의약품 처방조제 지원시스템) 시범사업이 병원급 절반 이상의 불참으로 사업진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주목된다.
6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5월부터 시행중인 제주도 DUR 시범사업 점검결과 의료기관 및 약국 등 요양기관 89%가 참여한 가운데 병원급은 3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참조>
이중 보건기관이 대상기관 14개소 모두가 참여해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으며 약국이 211개소 중 211개소(97%), 치과 141개소 중 130개소(92%), 의원 293개소 중 247개소(84%) 등의 순을 보였다.
30%대에 불과한 병원급의 참여는 전산망의 안전성 논란이 내재되어 있다.
복지부는 현재 병원급 DUR 시스템을 개발 중에 있어 조만간 해결될 것으로 기대하고 모습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병원들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크다보니 내부시스템상의 어려움이 호소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시스템 개발이 완료되면 병원급 설득에 큰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병원급의 입장은 다르다.
병원 진료실 PC의 처방전 검검을 위해 심평원 시스템과 실시간 연결하는 것은 원내 진료와 검사, 수술 등 전자의무기록(EMR)의 노출을 의미해 자칫 ‘시스템 다운’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병협측은 “병원급 불참은 당연한 결과”라면서 “30% 참여는 100병상 미만 병원급과 요양병원 등 그나마 전산망 문제가 적은 병원들이 참여한 것에 불과하다”고 언급했다.
DUR 시스템의 방법론도 시각차를 보였다.
복지부는 사후심사는 환자약물 복용이전 사전차단이 불가능하고 처방전간 병용금기 및 중복처방 미점검으로 환자들의 위해가 우려된다며 국민건강 보호차원의 시범사업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달리 병원들은 DUR은 처방이 아닌 조제단계를 점검하는 시스템이라는 주장이다.
병협 관계자는 “DUR은 환자의 약력관리를 위한 약사의 업무”라면서 “의사의 처방전을 원내 약사와 개국 약사간 정보교류를 통해 점검하면 충분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언제 시스템이 다운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병원들에게 칼을 목에 대고 진료하라는 소리와 같다”며 “복지부와 심평원이 현 방법을 고집한다면 오는 12월 DUR 전국 확대시에도 병원계 참여는 어려울 것”이라고 언급했다.
의원급의 일반약 확대 주장에 이어 병원급의 진료실 PC 연결 불가 등 DUR 시스템에 대한 의료계의 우려감이 고조되고 있어 복지부의 대응전략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