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교과부에 반기 든 국립 의전원
충남대로부터 시작된 지방 국립대의 의학전문대학원 이탈 바람이 강하게 불고 있다.
교육과학부가 교수 정원 증원 등의 당근책을 제시했지만 지방 국립대들이 전공의 수급 어려움 등 현실적 문제에 부딪히면서 약발이 먹히지 않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북대 의전원(원장 김대곤)은 13일 전체 교수들을 대상으로 의사양성학제 선택을 위한 투표를 실시했다.
이날 오후 5시 개표 결과 투표에 참여한 교수 가운데 66%가 의대 복귀에 표를 던졌다.
김대곤 원장은 “과반수 이상의 교수들이 의대 복귀를 희망했다. 앞으로 대학 본부와 협의를 거쳐 최종 의사양성학제를 결정할 방침”이라면서 “교수들이 의대 복귀를 희망하고 있는 만큼 대학 본부에서도 이런 의견을 존중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의전원으로 완전 전환한 전북대가 사실상 의대 복귀 수순을 밟고 있는 것이다.
김대곤 원장은 의전원 포기 이유로 세가지를 꼽았다.
그는 “의전원제도의 가장 큰 장점은 다양한 전공자가 입문해 인접학문과의 연계가 가능하고, 기초의학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었는데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또 김 원장은 “의전원으로 전환한 이후 지역 의료인력 수급, 특히 전공의 수급난이 초래되고 있다”고 밝혔다.
의전원 학생 절반 가량이 수도권 출신이다보니 졸업후 수도권의 수련병원으로 이탈하면서 전공의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이어 김 원장은 “의전원제도가 시행되면서 자연과학계열 교육 폐해가 초래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의전원으로 완전 전환한 15개 대학 가운데 국립대는 7개다.
이들 국립 의전원 가운데 충남대가 지난달 13일 처음으로 의대 복귀를 선언한 이후 경북대도 이달 7일 2017년 의대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국립 의전원 가운데 이미 3곳이 의대 복귀를 선언했고, 나머지 경상대, 부산대, 강원대, 제주대 등도 의대로 전환한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과거 국립의대들은 교과부가 의전원 전환과 교수 정원, BK21 사업비 등을 연계하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하자 모두 완전전환 또는 부분전환했다.
당시 국립의대 내부에서는 의전원에 대한 반대 여론이 강했지만 정부가 이런 당근-채찍을 꺼내든 상황에서 의전원으로 전환할 수밖에 없다는 푸념이 터져 나왔다.
현재도 상황은 비슷하다.
교과부는 최근 의전원체제를 유지하는 대학에 대해 교수 정원 증원(국립대), 학석사 통합과정 허용, 의과학자(M.D-Ph.D) 지원 확대 등을 약속했다.
하지만 상당수 의전원들은 이런 당근책보다 전공의 수급난 해소, 우수 인재 유치 등에 유리한 의대에 더 큰 매력을 느끼고 있는 게 현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