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절한 항생제 처방을 위해서는 감염 전문가 외에 의료계, 정부,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가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관리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연세의대 송영구(내과학교실) 교수는 최근 대한감염학회와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 대한임상미생물학회, 대한화학요법학회 공동 심포지엄에서 <다제내성균에 사용하는 항생제의 관리>를 주제발표했다.
송 교수는 "최근 이웃 국가들에서 보도된 다약제 내성 세균의 문제도 물론 여러 가지 복합적인 원인이 있겠지만 근본적으로는 항생제의 적절하지 못한 사용이 문제의 시작점에 있다고 볼 수 있다"고 환기시켰다.
그러면서 송 교수는 적절한 항생제 사용을 위한 관리를 누가 해야 하는가? 라는 질문을 던졌다.
송 교수는 "항생제 관리는 비단 어느 한 개인이나 일부 전문가단체의 노력만으로는 이뤄질 수 없다"면서 "의료계의 부단한 노력,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 의료소비자의 인식 변화 등이 있어야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의료계 내부 갈등, 정부의 무관심, 의료 소비자들의 인식 부족 등으로 그동안 국내에서의 항생제 관리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게 송 교수의 주장이다.
우선 의료계 측면에서 보면, 그나마 감염내과 전문의가 근무하고 있는 일부 대형병원에서는 전산 시스템을 통한 반 강제적인 항생제 관리가 어느 정도 이뤄지고 있지만 원하는 항생제를 자유롭게 사용하려는 다른 과 의료진과의 갈등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또 송 교수는 "행위별 수가제의 국내 의료체계에서는 비용효과 이점도 거의 볼 수 없기 때문에 병원 경영진들의 지원 역시 매우 인색한 형편"이라고 지적했다.
송 교수는 "항생제 관리를 위해 외국의 여러 지침에서 요구하고 있는 소위 ‘항생제 관리팀’ 구성에 필요한 전문인력(감염 전문의, 임상약사, 임상미생물 전문가 등) 고용에 대한 고려가 국내 어느 병원에서도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밝혔다.
특히 송 교수는 "대형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감염질환 전문가들이 항생제 관리를 위해 투자한 시간과 노력은 어디에서도 보상받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의사의 처방권을 제한한다는 타 의료진의 비난까지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송 교수는 정부의 지원도 촉구하고 나섰다.
그는 "의료기관이 아무리 적절히 항생제 관리를 하더라도 가시적인 수익이 발생하지 않고, 이에 소요되는 비용조차 보존받지 못하는 상태"라면서 "이에 대한 정부의 지원 또한 어떤 방식으로든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이어 송 교수는 "의료소비자들이 항생제를 지나치게 요구하는 것도 문제지만 무조건 배척하는 것도 문제"라면서 "용량을 임의로 조절한다든지, 충분한 기간 사용하지 않고 남겨뒀다가 나중에 사용한다든지 하는 잘못된 복용법도 내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