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목포시 보건소에서 B형간염 예방접종을 받은 생후 18개월 영아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조사결과 예방접종과는 무관한 것으로 밝혀졌지만 환자를 진료한 의사와 주사를 놓은 간호사는 경찰에 입건됐다. 예방접종 과정에서 의사는 예진을 소홀히 했고, 간호사는 의사의 지도 없이 접종을 실시한 혐의다. 이 사건이 터지면서 의료계 안팎에서는 보건소의 예방접종 문제가 또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개원가는 이번 사건이 보건소의 단체예방접종이 얼마나 위험한가를 보여주는 사건이라며 무분별한 접종을 지양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실제로 사고가 난 목포시 보건소의 경우 1년에 평균 8만 2천여 건의 예방접종을 시행하고 있는데 근무하고 있는 의사는 공중보건의 2명에 불과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제대로 된 예진이 이루어질 수 없고 의사의 지도감독도 소홀할 수밖에 없다. 보건소가 예방접종 사업을 적정 수준으로 축소하지 않는 이상 불미스러운 사건은 계속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인 셈이다.
사건의 심각성 때문인지 공중보건의사들도 보건소의 예방접종을 지양하고 사업을 민간에 이양하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정부와 지자체가 귀담아 들어야 할 주장이다. 일선 보건소에서 근무하며 예방접종의 문제점을 직접 경험하고 있는 이들의 목소리이기 때문이다. 보건소의 주요 기능인 질병 예방과 관리 업무가 예방접종과 같은 '행위'가 아니라 '교육'에 보다 중점을 둬야하며, 백화점식이 아닌 선택과 집중화된 사업을 추진해야한다는 이들의 주장은 충분히 설득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