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Times
  • 학술
  • 학술대회

심평원 빅데이터에 꽂힌 의학계 "한국형 데이터 기반"

발행날짜: 2014-06-05 06:03:33

학회들 MOU 맺고 자료 분석…"한계점 분명히 인식해야"

최근 빅데이터의 활용이 키워드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의학계에도 이에 대한 열풍이 불고 있어 주목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에 축적된 질병 정보를 활용해 한국형 데이터를 추출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대한골대사학회는 최근 공단, 심평원과 양해각서(MOU)를 맺고 한국형 골대사 질환 지도를 만들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골대사학회는 공단과 심평원이 보유한 건강 정보를 모두 넘겨받아 별도의 위원회를 구성해 이를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골대사학회는 한국형 골절위험도 예측모형을 개발하는 것은 물론, 한국형 골대사 질환 데이터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골대사학회 관계자는 "골대사 전문가들이 학회에 모여 있기는 하지만 전국적으로 이뤄지는 골대사 질환에 대한 환자 정보는 취합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라며 "공단과 심평원의 데이터는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러한 빅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면 한국인의 골대사 발병과 치료 패턴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다"며 "하지만 심평원 자체에서 이를 분석하는 것은 한계가 있는 만큼 학회와 심평원의 시너지는 상당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비단 골대사학회만 진행하고 있는 연구가 아니다. 상당수 학회들도 공단과 심평원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대한류마티스학회가 대표적인 경우. 류마티스학회는 이미 지난해 심평원과 MOU를 맺고 공동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다.

류마티스학회가 주목하고 있는 것은 한국 의사들의 처방 패턴. 학회가 발표한 진료 가이드라인이 어떻게 지켜지고 있는지와 일선 1차 의료기관에서 어떠한 처방을 내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류마티스학회 관계자는 "한국형 데이터를 명확히 추출해야 진료 가이드라인 마련 등에 반영할 수 있다"며 "현재 대부분의 진료 가이드라인은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지침을 일부 가공한 것이기에 한국인에게 정확히 맞아들어간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물론 전국적인 코호트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면 더없이 좋겠지만 학회 자체의 역량으로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우선은 심평원 데이터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고 전했다.

그러나 이러한 빅데이터 또한 분명한 한계를 가지고 있는 만큼 이를 맹신해서는 곤란하다는 의견도 있다. 자료의 한계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보조 자료로만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A학회 이사장은 "우리도 심평원의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형 데이터를 구축하고자 했지만 분명한 한계가 있어 이를 보류한 상태"라며 "이를 코호트 연구처럼 활용하는 것은 엄청난 오류가 생겨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분명 환자의 내원 정보와 처방 내역은 분석이 가능하겠지만 이 환자가 치료가 됐는지는 파악할 수 없는 것은 분명한 자료의 한계"라며 "이로 인해 어떠한 처방이 효과가 있었는지도 파악할 수 없으며 합병증과 약의 부작용 등도 반영할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