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종합병원 의료진: 몇일 전 사우디아라비아에 6개월 체류했으며 기침, 가래 증상을 보이는 환자가 메르스 검사(PCR)를 요청했다. 보건소에 문의했더니 발열이 없다는 이유로 검사 대상자가 아니라고 해서 돌려보냈는데 괜찮은 건가. 앞으로 이와 유사한 사례가 많을텐데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서울지역 모 대학병원 의료진: 신종플루 사태를 비춰볼 때 민간병원에서 검사를 하도록 했을 때 얼마나 많은 이들이 밀려들지 벌써부터 걱정이다. 병원은 제대로 준비가 안 된 상태인데 체계적인 관리방안은 없는 것인가.
4일 메르스 민관합동대책반 주최로 열린 '메르스, 바로 알고 극복하자' 세미나에 참석한 일선 의료기관 관계자들은 현장에서의 고충을 이처럼 토로했다.
그들의 고민은 메르스가 확산될수록 일선 의료기관에 검사를 문의, 요청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데 이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물론 시스템조차 미흡하다는 것이다.
국민 불안감이 높아지는 만큼 메르스 유전자 검사를 문의하고 요청하는 환자가 급증하는데 이에 대한 정부 대책이 늦다보니 일선 병원들이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복지부 메르스 특별대책반에서는 이를 감안해 5대 검사기관을 운영함과 동시에 효율적인 검사 프로세스를 검토 중이라고 하지만 아직까지 어떠한 지침도 없는 상태다.
이날 감염관리 전문가 토론에 참석한 고대안암병원 손장욱 교수도 같은 고민을 털어놨다.
손 교수는 "민간병원에서 검사가 가능하다고 하면 얼마나 많은 환자가 몰려올지 걱정"이라며 "어떤 방식으로 의료기관 내 검사를 실시할 것인지 묻고 싶다"고 했다.
분당서울대병원 김홍빈 교수도 "증상이 있는 메르스 의심환자와 일반 환자가 섞이면 일선 대학병원 응급실은 대혼란에 빠질 것"이라며 격리 지정병원은 치료에 집중하고 또 다른 공공의료기관은 검사 전담 병원으로 지정하는 방안도 검토해볼 만하다"고 제안했다.
단순히 호기심에 검사를 요청한 사람과 실제로 증상을 보이는 리스크가 높은 사람 또 이밖에 다른 질환으로 병원을 내원한 환자가 뒤섞일 경우 의료기관 내 감염은 더욱 확산되는 게 아니냐는 얘기다.
이에 대해 복지부 이재용 질병관리과장은 "의료기관에서 유전자 검사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진단검사의학회와 공조해 추진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김우주 감염학회 이사장도 "정부 대책반에서 검사를 원활하게 받을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검토 중"이라며 "오늘 제기된 문제점을 감안, 의료기관을 구분해 검사 역할을 맡기는 방안도 함께 논의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PCR검사는 중동에 머물렀거나 메르스 확진환자가 주변에 있는 경우, 메르스 감염 병원에 간 적이 있는 경우에 한해 실시해야한다"며 "단순히 호흡기질환이 있다고해서 검사할 필요는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