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오는 7월부터 본격 시행 예정이던 보건복지부 주도 호스피탈리스트 시범사업이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
올해 내에 시범사업을 진행해야 한다는데는 뜻을 같이 하면서도 비용 분담 문제 등에서 일부 의견이 엇갈리고 있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를 중심으로 하는 호스피탈리스트협의체는 최근 5차 협의체 회의를 열고 시범사업 일정과 대상 병원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협의체는 우선 시범사업을 희망하는 20개 병원을 대상으로 올해 안에 시범사업을 진행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확인됐다.
호스피탈리스트협의체 관계자는 "늦어도 올해 내에 시범사업을 진행해야 한다는데는 이견이 없었다"며 "대상 병원은 일정 부분 확정이 된 셈"이라고 전했다.
운영 방식도 사실상 확정 단계에 이르렀다. 내과외 외과 투 트랙으로 이뤄지는 통합 병동 방식이다.
이에 따라 시범사업 참여 병원들은 내과계 환자와 외과계 환자를 각각 한 병동으로 모으고 호스피탈리스트가 이를 관리하며 장단점을 분석하게 된다.
문제는 호스피탈리스트의 연봉과 수가 가산 방식에 대해 일부 이견이 있다는 점이다.
일부에서는 내과학회와 외과학회가 진행했던 시범사업 수준인 1억원~1억 5000만원을 지급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의견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당시 시범사업에서 호스피탈리스트 지원자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었다는 점을 감안해 조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일부에서는 수가 가산 등으로 일정 부분 호스피탈리스트 연봉이 충족되는 만큼 병원 자체적으로 추가 부담을 하는 방안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시범사업에 투입되는 건강보험 수가도 아직까지 확정하지 못한 상태다. 당초 예정된 7월부터 시범사업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따라서 우선 보건복지부는 현재 합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시범사업 시행계획을 세우고 추가적인 논의를 통해 수가 가산 방식을 확정하기로 했다.
또한 시범사업이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의 의결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건정심 회의를 통해 조정안을 내는 방안도 검토중에 있다.
호스피탈리스트협의체 관계자는 "우선 조속한 시범사업이 필요하다는데는 의견이 모아진 만큼 합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건정심 상정 안건을 마련하며 후속 논의를 이어갈 것 같다"며 "이견이 있는 부분은 건정심에서 추가로 조정될 수 있는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7월 시행이 검토됐지만 현재 일정상 이는 사실상 힘들지 않겠냐"며 "아무리 빨라도 8~9월은 돼야 시범사업 진행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