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가 2017년 1년차부터 수련기간 단축 포문을 연 데 이어 타과 학회까지 확산될 것인가를 두고 관심이 쏠리고 있다.
3일 각 학회에 확인한 결과 상당수가 일단 기존 체제를 유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다만, 일부 학회는 추이를 지켜보며 재논의 여지를 남겼다.
"4년도 부족…수련기간 단축은 없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정의학과, 비뇨기과, 성형외과, 신경외과, 산부인과, 영상의학과, 이비인후과, 정신건강의학과, 재활의학과, 정형외과(가나다순) 등 학회는 기존 수련기간을 고수할 방침이다.
앞서 수련단축 의지를 내비쳤던 비뇨기과학회도 일단 이와 관련한 모든 논의를 중단한 상태다.
가정의학과학회 양윤준 이사장(일산백병원)은 "기존 3년 체제를 유지할 것"이라면서 "이와 관련해 논의할 계획도 없다"고 밝혔으며 비뇨기과학회 주명수 이사장(서울아산병원)도 "수련기간 단축과 관련해 더 이상 논의하지 않기로 했다"고 선을 그었다.
정형외과학회 김기택 이사장(강동경희대병원)과 신경외과학회 임영진 이사장(경희의료원)은 "술기를 제대로 익히려면 현행 4년도 부족하다"며 단축 계획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재활의학회 방문석 이사장(서울대병원)도 "수련단축 계획은 없다"고 말했으며 이밖에 성형외과학회, 산부인과학회, 이비인후과학회, 정신건강의학회도 이와 관련해 논의를 진행하지 않고 있다.
"일단은 유지…하지만 재검토 계획 있다"
그외 소아청소년과, 흉부외과 또한 일단 기존 체제를 유지할 예정이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학회들과는 달리 수련기간 단축에 대한 논의를 이어 나가기로 했다.
또한 앞서 수련기간을 단축하기로 드라이브를 걸었던 외과학회는 계속해서 밀어부친다는 계획이다.
즉, 내과학회로 시작된 수련기간 단축은 타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소아청소년과학회 한 임원은 "2017년도는 기존 체제를 유지하기로 했지만 향후 수련기간 단축에 대해 재논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소아청소년과 특성상 세부전문의가 20%에 그치기 때문에 수련기간을 줄이는 것을 두고 갑론을박이 있다는 게 그의 설명.
그는 "다수 3년으로는 부족하다는 의견이 팽배하지만 일부 필요성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다"면서 여지를 남겼다.
흉부외과학회도 추후 재논의할 계획이다.
최근 설문조사 결과 6:4비율로 기존 체제를 유지하자는 의견이 우세했지만 내과 수련기간 단축이 연착륙할 경우 여론이 뒤바뀔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흉부외과학회 한 임원은 "수년 째 기피과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 수련기간 단축이 돌파구가 될 수 있지 않을까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흉부외과 전문의는 상당수 전공의 4년 수련을 받은 이후 폐식도, 소아심장, 성인심장 등 분과별 전임의 과정을 거치고 있다. 필드에 투입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셈이다.
흉부외과학회 한 임원은 "흉부외과도 호스피탈리스트로 활동 범위를 확장하면 기존 4년을 3년으로 줄이는 것을 검토해볼 만하다"면서 "전문성을 세부전문의 2년을 통해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대해 대한의학회 박중신 수련이사(서울대병원)는 "수련기간은 각 학회별로 전공과목 특성에 맞게 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모든 과가 동일한 수련기간을 갖는 것은 오히려 문제가 있다"면서 "내과와 무관하게 각 학회가 논의해서 정해야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