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부터 국가암검진에 폐암도 포함하면서 이를 지속적으로 주장해온 의료계 검진 전문가들은 화색이 돌았다.
하지만 그도 잠시, 당초 국립암센터를 중심으로 추진한 예산이 반토막 난 사실을 확인하면서 씁쓸한 표정이다.
지난 21일 대한영상의학회는 추계학술대회에서 '한국의 국가 폐암 검진 프로그램-우리는 얼마나 준비가 돼 있나'를 주제로 특별 세션을 진행했다.
영상의학과는 국가암검진 사업을 실질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분야인만큼 의료 현장에서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할 지를 고민하는 자리였다.
이날 세션에서 발표자로 나선 이들은 하나같이 '예산'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냈다.
정부가 이번에 폐암 국가암검진에 투입하기로 결정한 예산은 29억원. 우선 고위험군 8천명을 대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과연 국가암검진 사업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국립암센터 김열 교수(암관리사업부장)는 "각종 보고서에 따르면 폐암 검진은 1만 4천명을 대상으로 진행해야 80명의 암환자를 발견할 수 있다"면서 충분한 검진 대상 확보를 강조했다.
그는 이어 "정부가 정한 29억원의 예산으로는 8천명에 한해 실시할 수 있고, 이 경우 일년에 50명의 암환자도 발견하기 어렵다"라면서 "이렇게 되면 암검진사업의 성과를 거두는데 한계가 예상된다"고 했다.
다시 말해 이왕 국가암검진 사업으로 포함해 추진하려면 제대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충분한 예산을 투입해야한다는 얘기다.
이날 영상의학회 구진모 학술이사(서울대병원) 또한 예산이 반토막 난 것에 대해 아쉬움을 제기하며 검진 대상자 이외에도 검진 질관리를 위해 충분한 예산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에 따르면 영상의학회 차원에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폐암 검진 데이터 네트워크 구축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일단 폐암 판정에 도움이 되는 지표를 개발하는 것과 더불어 폐암 검진 판독자 인증제 도입도 논의할 예정이다.
구 학술이사는 "폐암 검진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3년에 1번은 교육을 받을 필요가 있다"면서 "이와 관련해 인증을 도입, 평가를 할 것인지 여부를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또한 기존 5대암 검진사업에서 데이터 활용이 미흡했던 점을 감안해 폐암 검진은 '네트워크-CAD'기반의 클라우드를 통해 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그는 "전체 검진 대상자의 CT결과를 업데이트해서 중앙 클라우드에 쌓이도록 하면 향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책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를 추진하려면 예산이 뒷받침 돼야 한다"며 예산 확보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