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Times
  • 병·의원
  • 대학병원

"외상환자는 응급 아닌 외상센터가 전원 주도해야"

발행날짜: 2016-10-24 05:00:56

외상센터장들 "가장 큰 책임은 복지부…외상센터 중심 전원 필요"

정부가 중증외상 소아환자 사망사건을 계기로 권역 간 전원조정 일원화를 추진한다.

여기에 전문가들은 외상센터가 중심이 되는 지역기반 외상시스템 확보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전남대병원 권역외상센터 개소 당시 모습
24일 병원계에 따르면, 복지부는 중증응급환자 원거리 이송이 필요할 경우 중앙응급의료센터 전원조정센터에서 119 및 닥터헬기 등 헬기이송을 조정하도록 조치했다.

전원조정센터의 조정 기능 범위 또한 전국으로 확대해, 권역 간 전원은 원칙적으로 전원조정센터에 의뢰해 우선 조정하고, 권역 내 조정은 지역 내 네트워크를 활용하거나 필요시 전원조정센터에서 조정하기로 했다.

즉 기존의 환자 전원이 병원과 병원 간에 이뤄지는 시스템이었다면, 제 3자인 전원조정센터가 우선적으로 전원을 시행한다는 뜻이다.

과거에 폐지된 바 있는 1339 응급의료정보센터가 수행하던 일을 전원조정센터가 맡게 하겠다는 것과 마찬가지.

외상 전문가들은 이번 소아 사망사건은 시스템의 문제로, 그 책임이 복지부에 있다고 지적한다.

A국립대병원 권역외상센터장은 "중증외상 소아환자 사망사건을 두고 제일 큰 책임이 있는 곳을 말한다면 사실 복지부"라며 "병원들이 희생양이 됐다고 본다. 전원시스템 문제로 발생한 사건으로 문제의 발단은 전원을 보낼 병원에서 갈 병원으로 연락하는 시스템"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보낸 병원과 받은 병원에 책임을 지우는 것"이라며 "우선 전원시스템을 병원과 병원 간이 아닌 제 3자가 전원을 조정하는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 1339 폐지가 이런 사태를 불어온 것"이라고 복지부를 비판했다.

여기에 전문가들은 전원조정센터보다 지역기반의 외상시스템 확보가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중심으로 이뤄지는 전원을 외상센터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B대학병원 권역외상센터장은 "권역응급의료센터의 기능이 외과적 외상질환에서는 응급의학과 의사들로 구성된 권역응급의료센터만으로는 해결이 안되므로 외과적 질환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외상센터의 역할은 따로 있을 수 밖에 없다"며 "그러면 외상은 외상센터 중심으로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해야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시금 혼선을 일으키면 지금과 같은 일들이 또 다시 벌어질 수 밖에 없다"며 "무엇보다도 환자 이송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는 아무리 병원의 시설이 좋아진다고 하여도 자원의 한계를 가진 병원이므로 똑같은 일이 발생하므로 지역에 적절히 환자를 나눠서 이송하는 시스템을 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