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호스피탈리스트(입원전담전문의) 지원자가 없을까.
복지부는 이에 대한 답을 찾고자 15일 오후 병협 대회의실에서 해당 병원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실시했다.
정부의 강력한 의지와 지원에도 좀처럼 지원자가 없어 시범사업 존폐 위기에 몰리면서 복지부도 난관에 봉착한 상황.
이날 병원장 및 병원 관계자 혹은 학회 관계자들은 현 제도의 한계에 대한 지적과 함께 다양한 의견을 쏟아냈다.
간담회에 참석한 다수 관계자에 따르면 다양한 의견을 듣기 위한 자리인 만큼 결론을 짓기보다는 난상토론의 형태로 진행됐다.
특히 시범사업 참여 시점을 올해 12월말에서 내년 3월로 연기하자는 의견이 다수 제기됐다.
앞서 복지부는 일단 올해 안에 한명이라도 채용을 해서 시범사업에 참여하고 순차적으로 제도를 시행하는 방안을 제안한 바 있다.
이를 두고 병원 관계자들은 "의사 채용시즌이 3월이기 때문에 12월말에 신규 의료진을 채용하는데 한계가 있어 이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실제로 모 병원은 지원의사를 밝힌 의료진이 있지만 현재 전공의 수련 중이거나 내년 3월, 후임 의료진이 와야 이동할 수 있는 등 현실적인 한계가 있었다.
또한 환자 동의서를 받는 것을 두고 어려움을 호소하는 의료기관도 일부 있었다.
정부 차원에서 홍보가 부족하다보니 호스피탈리스트라는 제도 자체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니 별도 비용을 지불하거나 환자동의서에 사인 것에 인색하다는 게 병원 관계자들의 호소였다.
심지어 간호간병통합서비스와 헷갈려하는 환자까지 있다는 병원도 있었다.
병원장들은 새로운 의사직군에 대한 채용 즉, 인건비 부담을 호소했으며 일선 교수들은 의료행위에 대한 책임 소재 즉, 내 환자를 호스피탈리스트에게 맡겨도 되는 것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을 털어놨다.
모 대학병원장은 약 2억원이 넘는 인건비를 제시해도 지원하지 않을 정도인데 어떻게 해야하느냐고 현실적인 어려움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복지부 이스란 과장(의료자원정책과)은 "다양한 의견을 들었고 제도에 대해 거듭 고민하게 됐다"면서 "시범사업을 본사업으로 끌고 가겠다는 정부의 의지는 변함이 없지만 당장 밀어부친다고 될 일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오히려 의료왜곡을 초래하는 일은 없어야 하기 때문에 충분히 의견을 수렴해 본사업으로 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서 이스란 과장은 참석한 병원 관계자들에게 PA실태조사에 협조해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