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Times
  • 병·의원
  • 대학병원

내과, 수련 3년 단축 효과 톡톡…가정의학과 타격 없었다

발행날짜: 2016-12-01 05:00:58

수도권·대형 쏠림 과제로 남아…진단검사, 지난해 이어 미달 '빨간불'

|2017년도 레지던트 1년차 지원 현황 분석③|

내과 3년 단축의 효과일까. 상당수 수련병원이 내년도 레지던트 채용에 성공했다. 하지만 수도권, 대형병원 중심으로 쏠림현상이 두드러지면서 또 다른 과제를 남겼다.

앞서 내과 수련기간 단축에 따른 여파를 우려했던 가정의학과는 예상외로 선방했으며 진단검사의학과는 지난해에 이어 미달 빨간불이 켜졌다.

메디칼타임즈는 2017년도 전공의 모집 원서 접수 마감일인 지난 30일 전국 65개 수련병원을 대상으로 지원 현황을 파악했다.

그 결과, 내과 지원율이 지난해 97.5%에서 올해 104.3%로 과거의 경쟁율을 회복하며 위상을 되찾았다.

병원별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 대형병원 중심으로 지원자가 몰리면서 경쟁률을 높아진 것으로 지방 중소병원의 내과 미달현상은 여전했다.

이는 최근 빅4병원 등 대형병원 중심으로 호스피탈리스트 채용에 성공한 것과도 긴밀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시 말해 이번에 내과 정원을 채운 병원 상당수는 호스피탈리스트를 채용하거나 지난해부터 수련환경을 적극 개선해왔던 곳으로 상대적으로 그렇지 않았던 병원들이 미달을 면치 못했다.

실제로 내년 3월부터 호스피탈리스트 제도를 시행하는 서울대병원 내과의 경우 20명 정원에 31명이 몰렸으며 서울아산병원도 20명 정원에 39명이 지원했다.

세브란스병원은 28명 정원에 42명이 지원하는 기염을 토했으며 서울아산병원도 20명 정원에 2배에 가까운 39명이 원서를 접수했다.

그 외에도 국립중앙의료원이 4명 정원에 5명, 경북대병원이 12명 정원에 14명, 중앙대병원이 6명 정원에 8명이 지원하는 등 높은 지원율을 기록하며 경쟁률을 높였다.

수도권에선 경희대병원, 고대의료원, 국립암센터 등이 무난하게 정원을 채웠으며 조선대병원과 경상대병원, 단국대병원, 대구파티마병원 등 다수가 지원율 100%를 기록하며 활짝 웃었다.

반면, 전남대병원과 전북대병원은 국립대병원임에도 저조한 성적을 보였다. 전남대병원 내과는 15명 정원에 11명 지원하는데 그쳤으며 전북대병원도 9명 정원에 4명이 원서를 접수하면서 절반도 채우지 못해 체면을 구겼다.

특히 원광대병원은 6명 정원에 지원자는 전무했으며 길병원도 9명 정원에 4명이 지원하는데 그쳤다. 성가롤로병원 역시 3명 정원에 지원자를 찾지 못한 채 접수를 마감했다.

내과 수련기간 단축에 따른 가정의학과 지원율 감소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지원율은 전년도 102.5%에서 올해 106.2%로 오히려 상승했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는 21명 정원에 32명이 몰렸으며 세브란스병원은 24명 정원에 28명이 지원했다. 가톨릭중앙의료원도 15명 정원에 17명이 원서를 제출했다.

동국대경주병원, 인하대병원, 단국대병원, 원광대병원 등 일부 수련병원을 제외한 대부분의 수련병원이 큰 어려움 없이 정원을 채웠다.

반면, 진단검사의학과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 지원율이 소폭 감소하면서 일각에선 내과 수련기간 단축에 따른 여파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빅5병원만 보더라도 삼성서울병원과 서울아산병원, 가톨릭중앙의료원은 정원을 채웠지만 서울대병원과 세브란스병원 모두 4명 정원에 3명이 지원하는데 그쳤다.

또한 국립암센터, 중앙대병원, 길병원, 인하대병원, 아주대병원, 단국대병원, 전북대병원, 부산백병원, 양산부산대 등은 지원자를 단 한명도 채우지 못한 채 마감했다.

진단검사의학회 한 관계자는 "과 특성상 내과의 영향을 알게 모르게 받는다"라면서 "내과 수련기간 단축에 상대가치개편까지 맞물리면서 지원율이 영향을 받은 것 같다"고 풀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