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부산대병원의 정보통신기술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사업 행보다.
부산대병원 의료정보센터 최병관 센터장(신경외과)은 최근 메디칼타임즈와의 만남에서 이 같은 ICT 사업 행보는 궁극적으로 "왓슨 같은 한국형 인공지능을 만들기 위함"이라는 야심찬 포부를 밝혔다.
최 센터장은 진료정보를 의원과 병원이 서로 디지털로 주고받는 시스템 구축이 한국형 왓슨 개발의 주춧돌이 될 수 있다고 기대했다.
그는 "인공지능은 결국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인데, 데이터도 좋은 데이터가 많이 있어야 한다"며 "진료정보교류는 좋은 정보가 쌓일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컴퓨터만 있으면 주민등록등본을 뗄 수 있고, 졸업증명서를 볼 수 있다. 모든 디지털이 표준화돼 있기 때문"이라며 "유독 의료만 표준화가 안 돼 있다"고 설명했다.
즉, 환자가 자신의 진료기록이나 영상기록이 필요하면 진료를 받았던 해당 병의원에서만 관련 자료를 받을 수 있다. 환자가 여러 의료기관을 왔다갔다 해야 하고, 중복검진을 받아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의료기관 간 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정부가 나섰다.
병원 간 진료정보교류 사업이 바로 그것이다.
현재 분당서울대병원과 세브란스병원, 경북대병원, 부산대병원이 거점 병원으로서 시스템 구축을 하고 있다. 올해 추가로 충남대병원과 전남대병원이 지정됐다.
부산대병원은 54개 의료기관과 구축한 진료정보교류 시스템을 600여개의 의료기관으로 확대 구축할 예정이다.
최병관 센터장은 "진료정보를 교류하는 기관이 600곳이 되면 부산지역에 있는 전체 의료기관의 4분의1 이상이 참여하는 것"이라며 "참여 주체인 대학병원과 1차의료기관, 환자가 시스템을 열심히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진료정보교류 사업은 의료기관이 정보를 주고받으며 상생하기 위한 것"이라며 "신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진료정보교류 시스템 구축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융합의학센터 서성현 팀장은 현재는 600곳까지 확대하는 계획을 세웠지만 궁극적으로는 부산지역 2600여개 병의원에 확대할 것이라고 했다.
서 팀장은 "병의원마다 서로 다른 전자의무기록(EMR)을 쓰고 있기 때문에 진료정보의 원활한 교류를 위해서는 시스템의 통일이 필요하다"며 "우선은 부산지역에 있는 대학병원 4곳은 같은 EMR을 쓰기로 했다. 2019년까지 프로그램 개발을 완료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진료정보교류 사업 성공의 관건은 무엇보다 의료기관과 환자의 적극적인 참여. 하지만 환자와 1차 의료기관의 반응이 아직은 뜨뜻미지근한 게 현실이다.
정부도 사업에 참여하는 의료기관에 대한 수가 신설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병관 센터장은 "진료정보를 디지털로 주고받기 위해서는 환자 동의를 받아야 하는 등 추가적인 시간과 행정력이 필요하다"며 "참여 주체들이 열심히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 유인책이 필요하다"고 우려했다.
서성현 팀장도 "우선 부산대병원과 협력관계를 맺고 있는 병의원 860여개 의원을 대상으로 사업 설명회를 열었다"며 "1, 2차 의료기관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부산시 진료정보교류 협력병원이라는 표식을 작게나마 만들려고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