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메르스, 지카바이러스를 겪었지만 여전히 감염병 국가표준실험실이 없다. 체계적인 국가표준실험실이 시급하다."
대한진단검사의학회는 18일 오후 코리아나호텔에서 '바람직한 감염병 국가표준실험실 체계'를 위한 토론회를 열고 한국에 적합한 국가표준실험실의 모델과 역할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날 경희대병원 박기호 교수(감염내과)는 전문가 집단(총 75명)을 대상으로 국가 표준실험실의 역할과 요건을 주제로 실시한 설문결과를 발표했다.
설문 및 전문가 인터뷰에 따르면 현재 진단검사를 의뢰해서 결과를 받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을 물론 질병관리본부, 시도보건환경연구원, 민간기관 간에 협업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있다.
실제로 설문에 응한 전문가들은 '신속하지 않은 결과 보고'를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았으며 이원화 및 전산화 부족 등으로 의뢰시스템의 불편을 지적했다.
또한 전문가들은 '원인불명의 감염병 진단과 치료를 위해(65%)' '법정감염병이 의심 또는 진단돼 신고하기 위해(66%)' 검사를 위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주로 위탁한 기관은 질병관리본부가 80%로 가장 많았으며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이 65%, 전문수탁검사기관이 61%로 뒤를 이었다.
국가표준실험실은 어떤 시스템을 갖추고 어떤 역할을 하는 게 적합할까.
전문가들은 국가표준실험실이 가장 시급하게 필요한 감염병으로 '국내 발생할 우려가 있는 해외유행 또는 신변종 감염병(50%)'을 꼽았다.
뒤를 이어 고위험병원체 감염병(21%), 제1~5군 법정감염병(16%)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실험실 모델은 중앙의 한개 기관을 중심으로 지역별로 표준실험실을 구축하고 민간 진단검사실이 보초병 실험실로서 위계를 이루는 구조가 적합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실험실 구성은 질병관리본부를 중심으로 하되 민간협업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국공립, 사립감염병연구소 및 대학과 의료기관 및 전문수탁검사기관 진단검사 의학검사실을 운영하는 방안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봤다.
박기호 교수는 전문가 인터뷰 결과 '정부+기관참여형' 모델이 가장 현실적이라고 결론을 지었다.
그는 "질병관리본부 주도로 운영하면서 국가가 감당할 수 없는 수요는 민간기관에 확진기능을 이양하는 구조가 돼야한다"고 말했다.
즉, 질병관리본부와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이 메르스, 에볼라와 같은 국가적 차원의 병원체를 담당하고 HIV와 같은 바이러스는 민간기관을 지정해 수탁하는 방식이 적합하다고 본 것.
그는 "이 과정에선 관리가 중요하다"면서 "정도관리는 국가가 주도적으로 수행하거나 대한임상정도관리협회와 같은 기관에 위탁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