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Times
  • 정책
  • 제도・법률

|단독|복지부, 외상센터+응급센터 '외상응급센터' 검토

이창진
발행날짜: 2019-01-25 05:30:55

윤태호 공공보건정책관, 영국 외상센터 방문…김윤 교수 "늘릴 땐 언제고 합치나"

보건당국이 외상센터 의료인력과 예산지원 지속 가능 차원에서 권역응급센터와 합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어 파장이 예상된다.

24일 메디칼타임즈 취재결과, 보건복지부는 최근 영국을 긴급 방문해 외상센터와 응급권역센터를 결합한 외상응급 의료체계 현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적용 여부를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외상센터 대명사로 불리는 아주대병원 이국종 교수와 박능후 복지부 장관의 대화 모습.(청와대 홈페이지 동영상 캡쳐)
복지부 윤태호 공공보건정책관과 외상센터 담당 사무관 등은 지난 7일부터 13일까지 영국 런던 외상센터와 캠브리지병원 공공의료연구소 등을 방문했다.

공보험 중심 의료체계인 영국은 이들 2곳 이외에도 총 27개소의 외상과 응급을 결합한 외상응급센터를 운영 중이다.

윤태호 정책관은 런던 외상체계 책임자를 방문해 외상센터와 응급센터를 결합한 영국 의료체계와 한국 상황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사 출신 런던 외상체계 책임자는 아주대병원 이국종 교수의 영국 외상체계 유학시 지도교수이다.

공무원인 그는 "예산과 의료 인력만 충분하다면 외상센터와 응급센터를 별도로 운영하겠지만 영국 현실은 그렇지 않다. 한국은 두 센터의 분리 운영이 지속 가능한가"라고 반문했다.

복지부가 왜 외상센터와 응급센터 일원화를 고민하는 것일까.

현재 외상센터는 아주대병원을 비롯해 시도별 13개소가 운영 중이며 2022년까지 17개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외상센터(미개소 센터 포함)에 근무하는 전담의사 170여명 중 외상외과 전문의는 100여명이고 외과와 흉부외과, 신경외과 전문의는 60~70명이다.

센터 1개소 중 외상외과 전문의를 비롯한 전담의사는 10여명 내외인 셈이다.

중증 외상환자 사망률 감소라는 외상센터의 화려함 뒤에는 24시간 대기 상태인 의사와 간호사의 번-아웃과 예상보다 적은 외상환자를 전담하는 인력과 장비, 시설 실효성 등의 그림자가 공존하고 있다.

복지부는 지난해 10월부터 강원도에서 119 소방대와 협조 체계를 강화하며 중증외상 환자의 원주기독병원 외상센터로 이송하는 시범사업을 실시 중이다.

더불어 외상표준운영체계 연구용역(연구책임자:심사평가원 허윤정 연구소장)을 발주한 상태로 오는 3월 외상센터 운영 개선 연구결과가 예상된다.

복지부는 아직 검토 단계라고 확대 해석을 경계하고 있다.

윤태호 공공보건정책관은 메디칼타임즈와 만나 "영국을 방문해 외상체계를 현장 방문했다. 외상과 응급을 결합한 외상응급센터 현황을 살펴봤다. 우리나라 외상센터의 지속 가능성은 고민되는 부분이다"라면서 "단기간 결정할 문제는 아니다.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을 아꼈다.

의대 교수 출신인 윤태호 공공보건정책관은 최근 영국 외상센터를 현지 방문하고 외상과 응급을 결합한 외상응급시스템을 점검했다.
복지부는 현 외상센터 중 아주대병원과 부산대병원을 제외하고 권역응급센터와 사실상 '한 지붕 두 센터'라는 점도 주의 깊게 보고 있다.

핵심 외상센터는 그대로 두고, 나머지 외상센터를 권역응급센터와 합쳐도 큰 무리가 없다는 의미다.

의료계 내부는 경제성에 입각한 의료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서울의대 의료관리학 김윤 교수는 "외상센터를 별도 운영하는 미국(5% 미만)에 비해 외상과 응급을 함께 운영하는 영국(10% 이상)의 예상 가능한 사망률 비율이 2배 이상 높다"면서 "외상센터 초기 전문가들은 권역별 7개소가 적당하다고 했는데 17개로 늘려놓고 이제와 권역응급센터와 합친다는 것은 무슨 발상인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김윤 교수는 "미국은 정형외과 24시간 수술이 가능한가를 외상센터 지정 기준으로 삼고 있다. 어느 나라 운영방식을 선택하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외상센터를 관리하지 못해 전담 인력과 전담 수술실 등 모든 곳에 이름표를 붙이는 한국 정부의 구태가 더 큰 문제"라고 전하고 "전문가의 목소리를 무시하는 의료정책을 언제까지 고수할 것인가"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