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급여화 이후 비만대사수술 건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일선 상급종합병원 의료진들은 중증도 분류에서 낮은 평가받고 있다는 불만이 높다.
즉, 비만대사수술은 위암 수술에 준하는 고난이도 수술임에도 중증도 분류에서 저평가 받다보니 결국 병원 내에서 입지를 확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얘기다.
대한비만대사외과학회 박도중 보험위원장(서울대병원)은 "비만대사수술에 대한 중증도 재분류를 추진 중에 있다"며 "현재 저평가된 의료행위의 중증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중증도 분류는 결국 상급종합병원 지정 평가와 직결된 요소로 해당 의료행위의 중증도 여부에 따라 입지가 결정된다.
앞서 지난 2016년, 정형외과를 주축으로 신경외과, 성형외과 등 총 7개 전문과목 학회들은 상급종합병원 지정과 관련된 전문진료 질병군 선정의 문제점을 지적한 바 있다.
당시 모 대학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정형외과 수술 중증도가 낮게 책정돼 있다보니 해당 과 환자가 늘어날수록 병원 중증도가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해 결국 정형외과 병동 축소로 이어졌다"며 중증도 평가의 부작용을 지적한 바 있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아직도 '비만대사수술=미용성형수술'의 일환이라는 인식의 굴레에 갇혀 중증도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는 실정이라는게 학회 측의 설명이다.
일선 대학병원 한 의료진은 "비만대사 수술 건수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증도가 낮게 책정돼 있다보니 수술을 할수록 손해가 나는 구조"라며 "결국 병원 내부에선 눈치를 봐야할 수 밖에 없다"고 호소했다.
실제로 그는 "현재 의료진들은 급여화 이후 수술 건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각 대학병원에서 낮은 중증도 문제로 입지가 좁다"며 "중증도 문제가 해결안되면 한계는 계속 존재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보험위원장은 "이는 비만수술의 확산을 위해서도 중요하지만 고난이도 의료행위에 대한 평가를 받을 필요가 있다"며 "현재는 2차병원에서도 가능한 수준의 중증도 분류로 한정돼 있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