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판막수술 시행 전 수술 후 조기 사망률을 예측할 수 있는 한국형 모델이 첫 개발됐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 원장 한광협)은 7일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이사장 김웅한, 서울의대 흉부외과 교수)와 공동으로 심장판막수술 시행하기 전 환자의 수술 후 조기 사망률을 계산할 수 있는 위험 예측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조기 사망 위험 예측법은 조기 사망률(수술 후 30일 이내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로 만들어진 도식을 의미한다.
환자의 개별 상태를 확인해 도식에 대입하면 수술 후 사망 위험 정도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어 환자 맞춤형 치료전략을 사전에 수립할 수 있다.
연구진은 2017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전국 9개 병원에서 심장판막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4766명을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해 조기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 13개를 밝혀냈다.
연구결과, 연령과 심부전 중증도(NYHA class), 수술의 긴급성, 만성질환(당뇨, 뇌혈관질환 등) 여부, 심장수술 이력, 관상동맥우회수술 동반 여부 등이며, 해당 여부에 따라 위험지수가 -1부터 15까지 총 17단계로 나눠졌다.
특히 80세 이상 고령인 경우와 신장기능이 떨어진 경우, 수술이 긴급할 경우 위험지수가 2단계씩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가장 낮은 단계에 해당하는 위험지수 '-1' 단계에서 조기 사망률이 0.3%였으며, 가장 상위단계인 위험지수 '15'에서 80.6%로 높게 나타나 단계가 높을수록 조기 사망위험도 상승했다.
현재까지 의료현장에서는 미국과 유럽에서 개발된 해외 예측법을 사용해 왔으나, 서양인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다는 점에서 한국 환자들에게 정확히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연구책임자인 서울아산병원 김준범 흉부외과 교수는 "이번 예측법은 임상현장에서 개별 맞춤형 치료를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환자에게 수술 위험성을 설명하고 동의를 얻는 데 좋은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의미를 설명했다.
공동 연구책임자인 보건의료연구원 김윤정 부연구위원은 "기존 해외 예측법과 달리 심장수술 종류를 세분화해 심장판막수술만을 위한 특성을 고려했다"며 "앞으로 다른 종류의 심장수술 위험 예측법을 개발하는 데 모범적 선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