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Times
  • 학술
  • 학술대회

"검진 빅데이터 활용도 무궁무진…정부 지원 필요"

발행날짜: 2020-08-25 05:45:56

종합건강관리학회 동석호 이사장, 학회 사업 한계 토로
데이터 공유·딥러닝 연결 고리 주문…"시스템 전무하다"

"환자 데이터가 아닌 건강한 사람의 건강 자료가 이만큼 구축돼 있는 국가는 우리나라가 유일합니다. 건강검진 활성화의 덕택이죠. 하지만 이 자료를 활용하는데 장벽이 너무 많아요. 정부가 풀어야할 몫이죠."

대한종합건강관리학회를 이끌고 있는 동석호 이사장(경희의대)은 건강검진 수검자들의 빅데이터를 이같이 평가하며 이를 활용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을 주문했다.

종합건강관리학회 동석호 이사장은 검진 빅데이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전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빅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면서도 이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는 지적이다.

동 이사장은 "거의 모든 국민이 건강검진을 받는 국가는 우리나라 외에는 찾아보기 힘들다"며 "아무리 의료 선진국이라도 절대 모을 수 없는 자료라는 의미"라고 운을 뗐다.

이어 그는 "건강한 사람의 데이터를 이만큼 모으고 더욱이 수년간 이어지는 추적 관찰 자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엄청난 의미"라며 "지금이라도 빅데이터 사업에 욕심을 내야 하는 이유"라고 덧붙였다.

종합건강관리학회 차원에서 검진 빅데이터 사업을 구상한 것도 이러한 이유때문이다.

빅5로 불리는 대형병원과 대학병원은 물론 하나로 의료재단 등 기업형 검진센터 대부분이 회원으로 들어와 있는 만큼 막대한 데이터를 하나로 모을 수 있는 구심점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다.

특히 이러한 필요성에 회원사들 즉 검진 기관들도 학문적 관심을 보이며 공감대가 이뤄졌다는 점에서 사업에 탄력을 기대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사업이 닻을 올린지 2년여. 아직까지는 본 궤도에 올라서지 못하고 있다. 그 데이터의 의미와 가치에 대해서는 모두가 공감하고 있지만 현실적인 한계가 만만치 않은 이유다.

동석호 이사장은 "검진 빅데이터 사업의 닻은 올렸지만 실질적으로 진행하면서는 수많은 장벽들이 나타났다"며 "일단 검진기관별로 데이터를 서로 공유해 사전 분석해 보자는데까지 합의가 끝났지만 현실적인 한계가 분명했다"고 털어놨다.

실제로 현재 개인정보보호법 상 수검자의 정보를 아무리 익명화한다고 해도 기관 안에서만 연구 목적으로 활용이 가능할 뿐 기관간 취합 및 공유는 불법으로 규정돼 있다.

그나마 공통 데이터 모델(CDM)을 활용한 방법이 남아있지만 학회 차원에서 이러한 사업까지 끌어가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이 동 이사장의 토로다.

동 이사장은 "현재 시스템 상 각 기관들이 검진 데이터를 병합하고 분석할 방법이 없다"며 "국민건강공단이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도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검진 빅데이터 활용을 위해서는 결국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그는 이어 "결국 공단이나 심평원, 즉 관의 개입 없이는 사업이 한발짝도 앞으로 나갈 수 없다는 의미"라며 "정부 차원의 관심 제고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올해는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 대응과 이로 인한 피해 최소화라는 과제도 추가됐다. 사실상 전국 검진 기관들의 협의체 성격도 가지고 있는 학회에서 대응해야 할 사안들이 늘었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종합건강관리학회는 우선 각 회원사들을 대상으로 피해 상황과 대응 방안들을 취합하며 학회 차원에서 진행해야 할 사안들을 점검하고 있다.

동석호 이사장은 "코로나 사태로 올 상반기만 해도 절반 이하로 수검자가 줄며 심각한 상황에 빠졌던 것이 사실"이라며 "회원 기관 전체가 한층 강화된 방역 체계를 구축했지만 지금과 같은 확산세가 지속되면 더 침체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토로했다.

아울러 그는 "대형 검진 기관들은 그나마 자체적인 방역 등 시스템을 가지고 있지만 소규모 기관들은 이에 미비한 경우가 있다"며 "지침을 통해 강요하기 보다는 설문 등을 통한 권고를 통해 감염병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유도하는데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