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관 안전사고 중 다빈도 사례인 낙상사고 예방을 위한 입원환자 부착용 낙상 위험 감시 시스템이 개발된다.
또한 의약품 처방과 조제, 투약 오류 차단을 위한 약국에 로봇 자동화 시스템이 도입될 전망이다.
28일 메디칼타임즈 취재결과, 보건복지부는 2021년도 공익적 의료기술연구사업 41억 7300만원을 첫 책정하고 내년 중 본격적인 연구에 들어간다.
공익적 의료기술연구사업은 저출산과 희귀질환, 환자안전 등 공익적 의료수요 해결을 위한 실용화 기술개발 지원으로 개념 검증과 임상적 근거 확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총 사업비 41억 7300만원 중 희귀질환 극복 연구에 12억원, 저출산 극복 연구에 21억원 그리고 환자안전 연구에 8억원을 배정했다.
이중 환자안전 분야는 요양기관 현장 목소리를 반영한 첫 복지부 공익 연구이다.
현 전자의무기록(EMR)은 의료기관마다 서로 다르게 개발 운영되고 있으며 환자안전 보고 시스템 역시 물리적 서버를 통해 데이터가 저장되고 있어 공유와 연계 활용이 어려운 상황이다.
복지부는 내년도 클라우드 기반의 환자안전 보고 학습 빅 데이터 시스템을 수립하고 의료기관 내에서 환자의 몸에 가속도계와 자이로 센서 등을 활용해 낙상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환자안전사고 중 다반도 1위로 '낙상 사고'가 보고되고 있지만 환자 교육 외에 실효적 대책이 거의 없는 게 현실이다.
복지부는 2024년까지 연속 사업으로 이어가며 입원환자 뿐 아니라 퇴원환자의 생체 신호 및 위치, 환자의 걸음걸이 등과 같은 정보를 수집해 낙상 위험과 재활 시기 등의 예측 정밀도를 높여 나갈 예정이다.
이를 통해 2025년 이후 낙상 고위험 환자의 실태조사 및 환자안전사고 보고 학습 시스템 내 낙상 발생률을 3위 아래로 감소시킨다는 목표이다.
약국의 조제 시스템도 로봇을 이용한 자동화 시스템으로 전환된다.
2019년 환자안전사고 실태조사 결과, 의약품 관련 위해사건이 전체 사고의 26%로 2위를 차지했다. 처방과 조제, 투약 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으나 예방책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복지부는 내년도 협동 로봇과 약품 자동 공급 장치의 카세트를 결합해 처방전에 따라 조제 알약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2024년까지 바코드 및 비전시스템 기반으로 정해진 수량과 약품의 종류를 검증해 조제부터 투약까지 오류를 제거하고, 약국 등의 변화하는 수요에 대응한다는 입장이다.
복지부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자동조제 환경을 구현하고 단순 업무 최소화를 통해 약사의 복약지도와 부작용 확인 등에 소요되는 시간을 보장해 환자안전사고를 예방할 것으로 기대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내년도 첫 공익적 의료기술 연구로 환자안전사고 예방을 통해 불필요하게 발생하는 의료비와 사회경제적 부담을 감소시켜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복지부는 내년 5월 사업 공고를 통해 7월 중 연구자 선정 등 환자안전 공익적 의료기술연구 개발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