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Times
  • 정책
  • 제도・법률

정부가 팔 걷어부친 의료기기 국산화…현장서 먹힐까

발행날짜: 2021-01-09 05:45:59

빅3분야 지원 방안 발표…핵심은 수요-공급자 교류 강화
의료기기 구매연계 방안, 의료진 수요 바뀔지는 의문

지난 8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제2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에서는 향후 바이오헬스 분야에 대한 지원대책이 쏟아졌다.

정부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3대 분야로 미래차, 시스템 반도체와 더불어 바이오헬스를 큰축으로 꼽고 적극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정부는 국내 의료기기 국산화에 적극 팔을 걷어부쳤다.
그렇다면 바이오헬스 분야는 어떤 변화가 있을까.

일단 대형 제약사·병원과 스타트업간 협업의 장을 마련할 예정이다.

스타트업의 혁신기술을 고도화하고 초기 판로 확보를 위해서는 수요가 있어야하는 법. 정부는 바이오 분야 사회적 이슈를 주제로 수요처와 스타트업간 '바이오 데이'를 정례화함으로써 협업의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즉, 개발하는 스타트업과 이를 도입하는 병원간 교류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는 것.

대기업은 문제를 제시하고 스타트업은 이를 해결하는 이름하여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을 바이오분야에 적용해 올해 중으로 공모전도 실시한 예정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의사, 간호사 등 코로나19 방역현장 인력의 애로사항을 해소해주기 위해 방역물품·기기의 성능을 개선하고 신제품을 개발하는 R&D사업도 신설한다.

또한 벤처·스타트업 바이오 특화단지 조성을 위해 이들 이외에도 대형 제약사, 병원, 연구소 등이 집적화된 '한국형 랩센트럴'을 구축키로 했다.

바이오분야 핵심기술인 빅데이터-인공지능(AI)기반 연구환경을 조성하고 벤처·스타트업들이 임상단계까지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 정부는 올 상반기 '한국형 랩 센트럴'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예정이다.

무엇보다 큰 변화는 의료기기 구매 연계 시스템 구축.

제품의 객관적 공신력 확보와 의료계 확산을 위해 대한의학회와 대한병원협회 등이 주도하는 민간 인증제도 운영도 검토한다.

미국의 경우 JCI(의료기관), HIMSS(의료정보시스템) 등이 있듯이 국내에도 의료기기의 신뢰성을 인증하는 민간 인증제도를 둘 필요가 있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이와 더불어 구매절차를 개선해 의료기기 관련 정부지원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중소·벤처기업 제품 구매 가능성을 사전에 검토하는 등 구매절차를 개선하는 방안도 함께 추진한다. 이는 의료기관의 공감대 확보를 위해 복지부와 대한병원협회에 협력 MOU를 체결할 예정이다.

혁신의료기기 시범보급을 위해 허가받은 혁신의료기기와 혁신형 의료기기 기업 제품을 혁신의료기기 실증지원센터(단국대, 서울대, 서울대치대, 세브란스, 아주대 등 5개 컨소시엄)에 시범보급한다.

의료기기 업체들이 임상 데이터 축적을 통해 신의료기술평가, 건강보험 급여 등재 등에 필요한 비용 효과성 근거 마련하는데 어려움을 해소해주겠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병원계 한 관계자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엿보이는 정책 변화이지만 임상현장에서 얼마나 실효성 있게 반영될지는 의문"이라고 내다봤다.

가령, 내시경의 경우 특정 외국계 업체의 점유율이 80~90%를 육박하는 상황에서 국산화를 강조한다고 과연 의료진들이 기존의 의료장비를 바꿀 것인가 의문이기 때문이다.

그는 "인공혈관 제조사인 고어사 등의 이슈도 국산화한다는 데 이견은 없지만 실효성 있는 대책인지는 모르겠다"면서 "병협, 의학회에서 국산 의료기기의 신뢰성을 인증한다고 의료진이 이를 신뢰해서 해당 의료기기로 바꿀지도 의문"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