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9년, 서울대병원 중동지사장으로 임명된 서울대병원 권용진 교수(53)가 2년 4개월간의 해외 파견 근무를 마치고 최근 국내 복귀했다. 어떤 색깔의 에너지를 충전해왔을까. 최근 혜화동에 위치한 그의 연구실에서 만나봤다.
슬림해진 모습으로 돌아온 그는 해외에 다양한 기업들과 교류하며 고민하고 깨달았던 점을 시원하게 쏟아냈다. 타국에서 바라본 한국 의료시장에 대한 평가와 함께 신선한 아이디어도 거침없이 꺼내놨다.
한국은 좁다…한국의료의 세계화 필요해
"한국은 유능한 인재가 넘치는데 사실상 좁은 섬나라에 갇혀 경쟁하고 있는게 안타깝다."
권 교수는 해외에서 다시한번 한국 의료의 경쟁력을 확인했다. 그리고 한국을 들여다보니 좁은 땅에서 치열하게 경쟁하는 모습이 답답했다.
그는 이 같은 맥락에서 '국제의료종합대학' 설립을 제안했다. 듣기만해도 낯선 이 대학의 콘셉트는 의학, 간호학 등 의료 관련 전공과목에 대해 100%영어로 수업하는 종합대학. 대상도 확실하다. 졸업 후 해외로 진출하고 싶은 국내 학생과 한국 의과대학에서 공부하고 싶은 외국인 비중을 절반씩 유지하는 것.
외국인에게 영어로 수업을 진행하니, 그들이 국내 의료체계 즉, 개원시장으로 흘러들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또 해외로 진출하고 싶은 국내 젊은의사들에게도 발판이 될 수 있다.
"일각에선 해외로 인재가 빠져나간다고 우려할 수 있지만 모르는 소리다. 국내 유능한 인재는 넘친다. 해외로 진출해 한국 의료의 우수성을 알리는 것도 중요하다. 또 한국 내 국제종합대학 형태로 문호를 열면 중후진국 외국인들이 몰려올 것이라고 확신한다."
그는 이런 변화가 한국의료의 세계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봤다.
2년 4개월간 깨닫고 배운 것
실제로 권 교수는 서울대병원 중동지사장을 지내면서 한국 의료를 객관적으로 보는 기회가 됐다. 해외에서 바라본 한국의료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그에 따르면 UAE(아랍에미리트)를 포함한 중동국가들은 비영리법인이라는 개념이 없다. 왕권국가 특성상 왕이 기업을 통해 국민들에게 혜택을 제공하면서 기업들이 공적 임무를 수행하기도 한다.
"그들에게 의료는 수입하는 서비스 중 하나다. 질 좋은 서비스를 합리적인 가격으로 사서 쓰는데 한국 의료서비스는 중동국가들 입장에선 비용효과적인 상품이다. 그래서 관심이 높다."
권 교수는 중동의 높은 관심에도 한국 의료가 해당 국가로 진출이 왕성하지 않은 이유도 풀어놨다.
첫째는 의료서비스를 수출할 준비가 부족하고 둘째는 파트너십을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국은 기본적으로 의료서비스를 통해 기업이 이윤을 남기면 안되는 구조이다보니 이를 해외로 판매하는 과정에서 마케팅, 홍보, 인력관리, 서비스 혁신 등 경영능력이 부족할 수 밖에 없다고 본다."
같은 이유로 국가의료제도 및 사회보험제도를 운영 중인 독일, 일본, 프랑스, 영국 등 국가도 중동 진출이 제한적인 실정이라고.
또 다른 이유인 파트너십도 한계가 명확하다. 중동은 인맥과 파트너십을 중요시하는데 한국에서 해외 진출을 돕는 공공기관 대부분이 임기제로 순환근무를 하다보니 파트너십을 유지하는게 구조적으로 어렵다는 게 그의 분석이다.
비비딕(BiBiDig) 시대가 온다
권 교수는 비비딕(BiBiDig) 시대라는 신조어를 제시했다. 바이오테크(Bio-Tech), 빅데이터(Big data) 그리고 그에 기반한 디지털 의료서비스(Digital Health)의 첫 글자를 따서 '비비딕'이라고 칭했다.
"의료분야의 변화는 농경시대에서 산업화시대로 바뀌는 정도의 변화가 오고 있다. 정치도 학문도 기술의 발전을 따라가기 벅차다. 자칫 정치와 학문이 기술발전의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있다."
권 교수는 윤석열 당선자가 여는 새 정부에서는 비비딕 시대로의 전환을 준비하는 것이 최대 과제가 될 것이라고 제시하기도 했다.
이는 모두가 알고 있는 화두이지만 복잡하고 어려운 주제. 지금까지 정책 전문가들이 의료현장을 모르는 한계가 있었다면 앞으로는 기술의 디테일을 모르면 정책을 논하기 어려워질 것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기술 전문가, 의료현장 전문가, 정책 전문가들이 어떻게 커뮤니케이션을 하면서 시너지와 대안을 만드느냐에 따라 국가의 미래가 달려있다고 봤다.
이와 더불어 현행 수가 계약방식은 수명을 다했다고 평가했다.
수가계약 방식이나 절차 측면에서 가입자는 물론 공급자 모두 합리적이지 않은 상태로 일부 손질을 한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점점 소비자의 시대를 넘어 소비자 주도 시대가 왔다. 여기에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건강보험을 둘러싸고 공개적이고 전면적인 권력구조 개편을 요구하게 될 것이다."
새로운 에너지를 가득 채워온 권 교수의 다음 계획은 뭘까.
그는 바이오 기술와 헬스케어 관련 산업을 들여다보고 있다. 학부생이 된 기분으로 해당 산업의 변화가 기존의 의료법 혹은 의료제도 틀에서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한국의 헬스케어 관련 산업의 잠재력은 세계 최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산업환경은 좋은 편이 아니다. 이 부분에서 정부가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