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Times
  • 제약·바이오
  • 국내사

"AI 신약 개발 급증…제약사‧병원 데이터 연계안 찾아야"

발행날짜: 2022-03-30 12:00:38

제약바이오협회 김우연 센터장, 제도적 지원책 강조
컨소시엄 형태의 '제약사-병원' 협업 구조 모델 제시

"데이터 중심병원 의료데이터를 제약기업의 임상데이터와 연계해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때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개발에 나선 제약‧바이오기업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의료기관과의 협의를 늘리기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김우연 AI신약개발지원센터장은 올해 초 부임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AI활용 신약개발을 측면에서 지원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김우연 AI신약개발지원센터장(사진)은 30일 온라인을 통해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제약사와 의료기관 협업 강화를 위한 정부 제도적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근 국내 제약사를 중심으로 AI를 신약 개발에 접목하는 사례가 빠르게 늘고 있다. 최근 JW중외제약은 지난 24일 온코크로스와 AI 기반 신약 공동 연구계약을 체결했다. JW중외제약이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하면, 온코크로스가 AI로 이 물질이 어떤 질병에 약효를 내는지 찾기로 했다.

이와 유사하게 동아에스티, 동화약품 등 다른 국내사들도 AI 기업과 협업해 신약 후보물질 창출에 나선 상황.

실제로 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국내 신약개발 AI 스타트업은 현재 38개로 지난해 상반기에는 14개 신약개발 AI 스타트업에 1700억원의 투자가 이뤄졌다. 정부도 'AI 활용 혁신신약 발굴' 등 27개 사업을 통해 제약바이오산업의 AI 활용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이 가운데 김우연 센터장은 기업들이 빠르게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선 일선 의료기관과의 협업이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기본적으로 AI를 신약개발에 접목하기 위해선 임상현장의 데이터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AI기술은 신약개발 전 단계에 활용돼 신약개발주기를 15년에서 7년으로 단축시킬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에 대한 필수조건이 의료기관 협업이라는 것이다.

김우연 센터장은 "AI 신약개발 가속화 측면에서 인력과 기술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데이터다. AI 솔루션의 성능 향상과 정확도 제고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며 "AI 신약개발은 화합물, 오믹스, 문헌정보, 임상정보, 의료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필요로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하지만 AI 솔루션에 필요한 대량의 학습데이터를 확보하는 일은 쉽지 않다"며 "국내 제약기업의 경우 자체 보유 데이터도 많지 않은 상황"이라고 한계를 지적했다.

따라서 김우연 센터장은 AI기업과 제약사, 의료기관과 3자 협의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폐쇄적인 형태로 현재 운영 중인 데이터 활용 체계를 정부가 나서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는 뜻이다.

김우연 센터장은 "보건의료데이터는 민감성이 높고 개인정보, 기술유출 등의 이슈가 있어 공공기관, 의료기관, 제약기업 모두 각자의 데이터를 폐쇄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며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데이터 중심병원의 의료데이터를 제약기업의 임상데이터와 연계해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정부 차원에서 강구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어 "화학연구원에서 운영하는 화합물은행은 신약개발연구 및 바이오연구의 출발점이 될 수 있는 신약소재화합물을 범국가적으로 수집·관리해 모든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며 "이러한 프로젝트를 더 많이 늘여야 한다. 국가 차원의 컨소시엄이 구축된다면 AI 신약개발 사업은 분명 가속 폐달을 밟을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