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넘게 이어진 전공의 지원 기피로 사상 최악의 위기에 몰린 비뇨의학과가 대대적인 수련제도 개편을 통해 문제 해결에 나선다.
전문의 시험을 시작으로 수련 실태 조사와 전공의 포트폴리오까지 수련제도 전반에 대한 손질에 나선 것. 또한 적정 인력 조사를 다시 도모해 10년 이후를 반영하는 장기 로드맵을 세운다는 계획이다.
대한비뇨의학회는 오는 8일부터 9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통합 학술대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수련제도 개편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비뇨의학회 관계자는 "수년째 전공의 정원을 다 채우지 못하는 지원 미달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4년의 수련기간을 3년으로 줄이는 단기 처방보다는 역량있는 전문의 배출을 통해 궁극적으로 영역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비뇨의학과는 2009년 사상 최초로 100% 지원율이 무너지며 전공의 충원에 실패한 이래 2011년 50% 이하로 미달 사태가 가속화되기 시작했으며 2014년에는 26%대까지 추락해 아직까지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이렇듯 전공의 기피 현상이 10년 넘게 이어지면서 수련제도 붕괴는 물론 전임의, 교수 인력까지 부족한 상황이 발생하며 도미노처럼 진료 과목 자체가 붕괴되고 있는 상태다.
이로 인해 비뇨의학회는 외과 등 다른 기피 과목처럼 수련기간을 3년으로 단축하는 방안을 심도있게 논의했지만 단기처방이라고 결론내리고 대대적인 수련제도 개편을 준비해왔다.
이에 따라 비뇨의학회는 이번 학회를 통해 전문의 시험 개편 방안을 확정하고 본격적인 수련제도 개선 작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전문의 시험 개편은 일단 실제적 술기 위주의 개선을 골자로 하고 있다.
지금까지 전문의 시험이 필기 시험 위주로 지식적 평가 방식으로 이뤄져 전공의들이 실무적인 술기를 익히는데 소홀했다는 것이 비뇨의학회의 판단.
따라서 전문의 시험 자체를 실무와 술기 위주로 개편하고 이에 대한 객관적 평가 방식을 개발해 전공의 수련제도의 변화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일단 비뇨의학회는 신뢰가능한 전문 역량(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을 구체화해 달성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있도록 할 계획이다.
가령 과거 교육 목표가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등의 포괄적 내용이었다면 이제는 '급성요폐가 발생한 환자에 대해서 요도를 통한 카테터를 삽입할 수 있다'를 기본 역량으로, '치골 후 방광루를 포함한 방식으로 요폐환자의 방광내부 소변을 배출 시킬 수 있다'를 상급 역량으로 제시하는 방식이다.
교육 목표가 이렇게 변경되는 만큼 이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도 실기 위주로 변경된다.
비뇨의학회 관계자는 "설문을 통해 구체화된 필수 수술 및 술기를 실제 시험에서 평가하기 위한 OSCE를 개발할 계획"이라며 "객관적 평가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안이 많지만 일단 필수 술기의 핵심적 절차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데 중점을 둘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비뇨의학회는 이번 학술대회 기간 동안 각 병원 지도전문의로 구성된 수련위원회와 교육 정책위원회 회원들을 모아 1박 2일에 걸쳐 평가 제도에 대한 개편 방안을 확정하고 실제적인 평가 문제 개발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이러한 전문의 시험 개편을 골자로 지도 전문의 지침서와 수련실태 조사 개선 방안도 함께 논의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전공의 포트폴리오까지 개선해 기존의 수련 교과 과정을 완전히 역량 중심으로 재편한다는 것이 비뇨의학회의 로드맵이다.
이와 함께 비뇨의학회는 비뇨의학과 전문의에 대한 적정 전문의 인력 수요 추계도 다시 설정할 계획이다.
비뇨의학회는 2011년부터 전공의 미달 현상이 벌어지자 2014년 외부 전문 기관에 적정 의료 인력 추계 조사를 의뢰해 2017년부터 50명으로 전문의 수를 제한하는 자발적 총 정원제를 시행한 바 있다.
결석에 대한 쇄석치료와 요실금 수술 등에서 타과와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개원 환경이 악화된 것이 원인이라고 보고 전문의 과잉 공급을 조절하기 위해 마련한 자구책이다.
하지만 비뇨기 종양 로봇 수술 등 비뇨의학과 전문의들의 영역이 다시 생겨나면서 비뇨의학과 종합병원과 개원가의 상황이 호전되는 지표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 비교의학회의 설명.
즉, 2014년에 실시한 전문의 적정 의료 인력 추계 조사 결과가 지금과는 맞지 않다는 판단으로 이에 대한 재조사를 진행한 셈이다.
비뇨의학회 관계자는 "인구 고령화와 로봇수술 증가 등으로 비뇨의학과의 전망이 호전되고 있고 이를 반영하듯 지난해에는 전국적으로 50명의 전공의 수를 다 채운 바 있다"며 "이에 맞춰 과연 지금의 추세를 반영했을때 10년 이후를 반영한 적정 의료 인력에 대한 재조사가 필요하다는 판단으로 용역 조사를 시행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