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은 초기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침묵의 암'이라 불린다. 조기 치료 시 완치율이 어느 암보다도 높지만 대부분 병이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하는 경우가 많아 국내 암 사망률 3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임상 현장에서는 조기 치료율을 높이기 위해 '대장 내시경'을 예방적 관리체계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8일 대전 송강미소내과의원 이재준 원장(사진)은 대장암 조기 관리 및 치료 중요성을 설명하며 내시경 국가검진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현재 대장암 국가검진은 만 50세 이상을 대상으로 대변에 혈액이 있는지 살피는 '분변잠혈검사' 후 이상이 발견되는 인원에 한 해 대장내시경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통한 대장암 조기 발견 가능성은 지극히 적다는 것이 의료계 내의 평가다.
이재준 원장 역시 "현재 대장암 국가검진은 분변잠혈검사 위주로 하고 있는데 사실 효율성이 많이 떨어진다"며 "검사에서 양성이 나온 환자에 한해서만 대장 내시경을 건강보험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사실 이 방법으로 대장암을 확인한 환자는 거의 없다"며 "양성 환자 중 1~2% 정도가 실제로 대장암 판정을 받는다"고 말했다.
다행스럽게도 현재 대장암 국가검진은 시범사업을 통해 이 과정을 생략, 1차 검진으로 대장내시경을 바로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논의가 진행 중이다.
또한 이재준 원장은 대장암 판정을 받는 환자 평균 연령이 최근 낮아지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주목했다.
임상현장에서 이 같은 변화를 느끼고 있다며 예방적 차원에서 대장암을 국가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것이 이재준 원장의 생각이다.
이재준 원장은 "과거에는 30대에게는 대장 내시경을 권유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임상현장에서 체감했을 때에는 그렇지 않다"며 "아무래도 대장 내시경이 침습적이기에 위험성이 존재한다. 이제는 30대에서도 대장암이 발견되기에 이익과 위험성을 따진다고 해도 대장 내시경을 하지 말라고 환자에게 권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장용종이 생기고 악화 돼 암으로 발전하는데 10년 정도를 예상하는데 30대에 용종이 생긴다면 40대에는 암으로 발전한 다는 뜻"이라며 "50대에 국가검진으로 한다는 것은 이미 늦은 것이다. 폐암도 국가검진으로 적용된 것처럼 대장암도 변화해야 한다는 생각을 고 있다"고 개인적 견해를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이재준 원장은 국내 대장 내시경 분야 저변 확대의 남은 과제로 장정결제로 대표되는 '약제' 개선을 꼽았다.
대장 내시경을 위한 의료기관 저변은 확대됐지만 환자가 장정결 과정에서 느끼는 부담은 여전하다는 판단에서다.
이재준 원장은 "국내 대장 내시경 보급은 마무리됐다. 전국에서 대장 내시경을 하지 못하는 지역이 없을 정도로 진입 문턱도 낮아졌고 의료인의 술기 면에서도 세계적으로 경쟁력이 입증됐다"며 "결국 환자들이 대장 내시경에서 제일 힘들어 하는 부분은 장정결 과정"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약제 개선이 많이 이뤄지면서 장정결제 복용 부담이 줄었다. 알약으로도 출시됐는데 아직도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며 "위암처럼 대장암도 국가 차원에서 관리해 예방 쪽으로 사업 방향을 잡는다면 대장암 발생률은 급격히 줄 것이다. 폐암 등 다른 고형암의 경우 예방이라는 개념 접근이 어렵지만 대장암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덧붙였다.